한국도로공사는 세트 중반 이후 집중력이 급격히 높아지며, 경기 흐름을 뒤집는 완성형 팀 컬러를 지닌다. 세터 김세빈은 득점 격차가 좁혀지는 상황에서 의도적으로 템포를 늦추며 상대 블로킹 타이밍을 무너뜨린다. 공격의 중심은 에이스 모마와 타나차에게 집중되는데, 모마는 예측하기 어려운 빠른 백어택 타이밍으로 상대 수비를 흔들고, 타나차는 네트 근처에서 강한 손목 스냅으로 짧은 각의 공격을 구사한다. 이 조합은 상대 블로킹 라인을 지속적으로 교란시키며 세트 후반 결정적인 득점을 만들어낸다. 강소휘는 수비 커버와 리시브 안정성을 동시에 책임지며, 후위에서도 세터와의 연결이 매끄럽다. 김세빈의 세밀한 볼 조율이 가동되면 도로공사는 흐름을 놓치지 않고 세트 전체를 지배하는 전개력을 보여준다. 또한 점수를 따라가는 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고, 중장거리 랠리에서도 체력 분배가 안정적이다. 세트 후반의 리듬 변화는 김세빈의 템포 조절과 공격 조합의 완성도에서 비롯된다.
정관장은 초반 강타 위주의 전개로 경기 흐름을 잡으려 하지만, 세트 후반으로 갈수록 리듬 유지가 불안하다. 자네테는 폭발적인 공격력을 갖추었으나 후반에는 타점이 낮아지고 타이밍이 흔들리는 경향을 보인다. 이선우는 빠른 스텝으로 리시브 커버를 시도하지만, 팀의 포지션 전환이 늦어 블로킹 연결이 원활하지 않다. 박은진은 중앙 블로킹에서 강점을 보이지만, 도로공사의 다변화된 볼 배합 앞에서는 반응 속도가 떨어진다. 정호영은 안정적인 오픈 공격을 구사하지만, 상대 디그 라인이 탄탄할 경우 효율이 급감한다. 팀 전체적으로 후위 수비 라인의 집중력이 떨어지고 세트 후반 리듬이 끊기는 장면이 반복된다. 세터와 공격수 간의 합이 어긋나며 공격 템포를 잃는 경우도 많다. 결국 정관장은 후반 집중력과 리시브 조직력에서 불안 요소가 큰 팀이다.
◈ 코멘트
이 경기는 세트 후반 템포 조절과 볼 배합 완성도가 승부의 핵심이다. 한국도로공사는 경기 중반 이후에도 집중력을 유지하며, 김세빈의 정교한 세트 조율 아래 모마와 타나차의 공격 효율을 극대화할 것이다. 강소휘의 후위 커버가 안정적으로 작동하면서 블로킹 커버까지 연결되는 리듬이 완성된다. 반면 정관장은 자네테의 공격 의존도가 높고, 세트 후반 수비 밸런스가 무너질 가능성이 크다. 도로공사는 세터 중심으로 템포를 조절하며 결정적인 순간 에이스에게 볼을 집중시키는 운영으로 흐름을 주도할 전망이다. 세트 중반 이후부터는 도로공사의 조직력, 집중력, 세터와 공격수 간의 합이 승부를 결정짓는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 추천배팅
[승/패] 한국도로공사 승
[핸디캡] 한국도로공사 승
[언더/오버] 오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