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은행은 세터 라인의 템포 감각이 팀 전력의 핵심이다. 주축 세터들이 감독의 지시보다 한 박자 빠르게 경기 흐름을 읽어내며, 교체 타이밍과 전환 속도를 능동적으로 조율한다. 이러한 템포 조절 능력이 세트 후반 집중력 유지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빅토리아는 높은 타점에서 강타를 구사하며 상대 블로커의 타이밍을 흔들고, 이소영은 안정적인 리시브와 수비 밸런스로 세터 연결의 정확도를 높인다. 중앙의 킨켈라는 블로킹 타이밍을 정교하게 잡으며, 네트 앞에서 결정적인 득점을 책임진다. 이주아의 백어택과 킨켈라의 중앙 속공이 조화를 이루며 다양한 공격 루트가 살아나고, 팀 전체의 전술 밸런스가 유지된다. 세터의 템포 변화와 리듬 조율이 맞아떨어질 때 기업은행은 상대가 흐름을 끊을 틈을 주지 않는다. 결국 전체적인 조직력과 리듬 제어 능력에서 한 단계 높은 완성도를 자랑한다.
도로공사는 타나차와 모마의 화력에 크게 의존하는 공격 전개를 보인다. 하지만 리시브 라인의 불안정으로 인해 세터 김세빈의 볼 연결이 흔들리는 구간이 많다. 강소휘는 코너에서 타이밍을 노리지만, 기업은행의 블로킹 벽 앞에서는 효율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특히 세트 후반부 체력 분배가 원활하지 않아 공격 성공률이 급격히 하락하는 패턴이 반복되고 있다. 블로킹 후 리턴 커버 타이밍이 늦는 것도 약점으로 꼽히며, 모마-타나차 라인에 공격이 집중될수록 수비 간격이 넓어지고 사이드 커버가 무너진다. 결국 도로공사는 초반 강타로 리드를 잡더라도 세트 후반부에는 안정적인 경기 운영이 어렵고, 세터-공격수 간의 호흡이 흔들리는 순간 경기 전체의 리듬이 깨지는 불안정한 구조를 보인다.
◈ 코멘트
이 경기는 세터의 템포 조절 능력과 리시브 안정성이 승부를 가를 핵심 포인트다. 기업은행은 세터 라인의 능동적인 경기 운영과 리듬 전환 능력을 바탕으로 흐름을 스스로 제어할 수 있는 팀이다. 교체 타이밍에서도 전술 리듬을 유지하며 세트 후반부까지 에너지 레벨이 안정적으로 이어진다. 반면 도로공사는 리시브 불안과 블로킹 라인의 느슨함으로 인해 세트 후반 집중력이 급격히 떨어진다. 기업은행의 블로킹 커버와 중앙 연계 플레이는 도로공사의 사이드 공격 루트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템포 조절과 전환 속도 면에서도 기업은행이 확실히 앞선다. 결국 경기의 흐름은 기업은행이 주도할 가능성이 높고, 세트 후반 집중력 차이로 승부가 갈릴 전망이다.
◈ 추천배팅
[승/패] 기업은행 승
[핸디캡] 기업은행 핸디 승
[언더/오버] 언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