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예산) 황새 복원 10년 만에 텃새로…동북아 연구 협력 새 출발

유머/이슈

(충남 예산) 황새 복원 10년 만에 텃새로…동북아 연구 협력 새 출발

최고관리자 0 6 09.19 13:06

황새 복원 10년 만에 텃새로…동북아 연구 협력 새 출발 / SBS / #D리포트



푸른 하늘을 가르며 황새가 힘차게 날아오릅니다.

활짝 날개를 편 채 우아한 자태를 뽐냅니다.

예산군은 2015년 국내 최초로 황새를 야생에 방사하며 황새의 고향으로 불리기 시작했습니다.

10년 동안 방사된 황새는 122마리. 올해만 79마리가 자연에서 태어났고, 전국 개체수는 250여 마리로 늘었습니다.

예산을 넘어 서산, 아산, 전남 나주, 경북 구미까지 확산했고 철새였던 황새가, 사계절 머무는 텃새로 자리 잡았습니다.

[김수경/예산황새공원 박사 : 복원하게 되면서, 우리나라에서 번식하는 황새 그리고 겨울철에도 우리나라를 떠나지 않고 있는 황새들이 이제 점점 늘어나고 있는 거죠. 원래 옛날처럼 이렇게 황새가 텃새가 된 겁니다.]

특히 A20으로 이름 붙은 예산 출신 황새가 타이완에서 발견돼 세계적인 관심을 끌었습니다.

이런 성과를 공유하기 위해 한국, 중국, 일본, 타이완 전문가들이 모여 국제 심포지엄을 열었습니다.

황새 보전의 성과와 과제를 논의하고, 공동 연구와 이동 경로 추적 협력에 뜻을 모았습니다.

[최재구/충남 예산군수 : 그곳(일본 도요오카시)의 황새를 2마리를 이쪽으로 데려오려고 합니다. 근친교배의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그렇게 해서 다양한 황새 품종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일본 도요오카시도 황새 마을의 경험을 공유하며 예산군과의 공동 노력을 약속했습니다.

[가도마 타케시/일본 도요오카시장 : 이 새는 환경과 경제의 순환을 상징하는 새라고 생각합니다. 작은 지자체이지만, 예산군과 함께 이 노력을, 세계로 확산시키는 것을 오늘부터 시작하고 싶습니다.]

심포지엄이 끝난 뒤 열린 방사 행사에서 황새는 힘찬 날갯짓으로 국제 협력의 새 출발을 알렸습니다.

황새복원은 이제 성과의 단계를 지나, 국경을 넘어 함께 지켜야 한다는 과제까지 안게 됐습니다.

예산군의 노력이 동북아 협력모델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Comments

Category
반응형 구글광고 등
State
  • 현재 접속자 218 명
  • 오늘 방문자 1,294 명
  • 어제 방문자 2,516 명
  • 최대 방문자 3,146 명
  • 전체 방문자 255,667 명
  • 전체 게시물 0 개
  • 전체 댓글수 0 개
  • 전체 회원수 75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