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해저 통신케이블에 사용되는 중국산 부품과 설비교체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오늘 니혼게이자이(닛케이) 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내년 3월까지 자국 기업을 대상으로 해저케이블, 중계기, 제어장치 등 통신 체계 전체에 중국산 부품 등이 있는지 조사에 나설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중계기 등에 사용되는 중요 부품에 중국산이 존재할 경우 해당 부품을 다른 업체에서 구매하도록 독려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일본 정부는 도청을 막고 경제 안보를 강화하기 위해 이처럼 해저케이블 점검을 추진하고 있다고 닛케이는 보도했습니다.
해저케이블 시장은 일본 NEC, 미국 서브컴, 프랑스 알카텔 등 3대 업체가 점유율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최근 중국 화웨이 산하였던 HMN이 부상하고 있습니다.
앞서 2023년 미군이 주둔한 오키나와 인근 바다에 부설된 케이블에서 중국제 도청 장치가 발견된 바 있습니다.
또한 지난해 말부터 대만 주변과 발트해에서 케이블이 손상되는 사건이 잇따라 발생한 점도 이번 점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닛케이는 "섬나라인 일본은 국제통신의 99%를 해저케이블에 의존한다"며 "손상 시 복구에 시간이 걸리면 국민 생활과 경제 활동에 큰 영향을 줄 수 있고, 금융 거래 등에서는 통신이 약간만 지체돼도 치명적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