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OECD 자살률 1위'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 총력 대응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10년 안에 자살률을 40% 낮추는 내용의 대책을 발표했는데요. 어떤 방안이 담겼는지, 박민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서울시 자살예방센터의 전화 상담팀.
상담사 17명이 3교대로 근무하며 연중무휴 24시간 운영됩니다.
코로나 팬데믹부터 급증한 상담 건수는 1년에 2만 8천여 건에 이릅니다.
[주지영/서울시 자살예방센터 상임팀장 : "최근에는 다양한 관계의 상실과 버티기 쉽지 않은 정신적인 고통들을 정말 많이 호소하시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지난해 스스로 생을 마감한 우리나라 국민은 만 4천여 명.
하루 평균 40명꼴입니다.
이에 정부가 자살을 사회적 재난으로 규정하고 국가자살예방전략을 내놨습니다.
지난해 인구 10만 명당 28.3명인 자살률을 2034년 17명 이하로 40%가량 낮춰 10년 안에 OECD 1위라는 오명에서 벗어나는 게 목표입니다.
우선, 고위험군에 대한 대응과 관리를 강화합니다.
자살 시도가 발생하면 자살예방센터 직원이 현장 출동해 응급실에 동행하는 등 즉시 개입하도록 합니다.
지금까지는 경찰과 소방을 거치거나 자살 시도자 본인이 동의해야 개입할 수 있었습니다.
자살예방센터와 각 부처 취약계층 지원기관들을 연계해 고위험군 조기 발굴에도 나섭니다.
지자체마다 '자살예방관'을 두고 전담 인력도 센터당 2.6명에서 5명 수준으로 늘릴 계획입니다.
[김민석/국무총리 : "이제 국민 누구도 삶을 외롭게 포기하지 않도록 정부, 지자체, 민간이 힘을 합쳐서 변화를 만들어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심리 상담과 법률 지원도 12개 시도에서 전국으로 확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