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조지아주의 우리 기업 공장에서 벌어진 대대적인 불법이민 단속에 대해 우리 정부가 총력 대응에 나섰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유관부처에 긴급 대처를 지시한 가운데, 외교부는 대책본부를 가동하고, 조현 장관이 직접 워싱턴에 가서 미 행정부와 협의하는 방안을 논의 중인데요.
먼저 단속 상황 살펴보고, 미국 조지아주 현지와 외교부를 차례로 연결하겠습니다.
미 당국이 구금한 4백여 명 가운데 대다수가 우리 국민으로 파악됐는데요.
MBC가 압수수색 영장 원본을 확인한 결과 한국계 하청업체들이 수사 대상으로 명시돼 있었습니다.
조지아 현지에서 나세웅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에 위치한 현대차 전기차 생산 부지.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10조 원을 들여, 배터리 생산시설을 세우고 있습니다.
하루 전 노동자 4백75명이 연행되면서, 분위기가 삼엄합니다.
[경비원]
"경찰 부를 수 있습니다. 가세요."
어제 합동 단속 이후로 공사 현장은 이렇게 비었고, 공사 자체도 멈춰 섰습니다.
MBC가 단속 근거가 된 압수수색 영장을 확인해 보니, 배터리 합작 법인은 물론 '오토리카', 'SBY', '티케이' 등 한국계 하청업체 5곳이 적시됐습니다.
불법 체류자 은닉과 보호, 그리고 불법 고용 혐의가 적용됐습니다.
취재 결과 국토안보부 산하 국토안보수사국은 인사기록 뿐만 아니라 직원을 채용할 때 고용주가 구비해야 하는 'I-9' 서류 일체를 압수해 간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구비서류가 미비한지 꼼꼼히 따져 기업들도 책임을 묻겠다는 의미입니다.
국토안보수사국은 기자회견을 열고 "단일 현장으로는 수사국 역사상 최대 규모"라면서, "그냥 와서 버스에 사람들 싣고가는 불법체류자 단속과 다르다"고 밝혔습니다.
[스티븐 슈랭크/국토안보수사국 특별수사관]
"(무작정 사람들을 잡아들이는) 이민자 단속이 아닙니다. 수개월에 걸쳐 범죄 수사를 통해 증거를 수집했고, 그 증거로 법원에서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받은 겁니다."
그러면서, 체포한 475명은 국경을 불법으로 넘거나, 비자 면제로 들어와 일할 자격이 없거나, 혹은 비자를 받아 입국했지만 체류 기간이 초과된 사람들이라고 말했습니다.
국토안보수사국은 남미계 불법 체류 노동자 4명을 특정해, 부지 수색 필요성을 주장했는데, 이민법 전문가는 수사 확대를 위한 통상적인 전략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수사 결과를 받아 법적 절차를 진행할 조지아주 검찰은 이번 사건이 '미국 되찾기 작전'의 일부라고 밝혔습니다.
미국 조지아에서 MBC뉴스 나세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