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재명 대통령이 오늘 양대 노총을 만났습니다.
주 4.5일제 도입, 정년 연장 등 굵직한 노동정책을 추진하는 이 대통령은 '노사간 대화가 중요하다'며 싸워도 일단 만나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정상빈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국노총과 민주노총, 양대 노총 위원장들이 이재명 대통령과 손을 맞잡았습니다.
현직 대통령이 두 위원장을 집무실로 초대한 건 5년여 만입니다.
실제로 임금 체불과 산업재해를 경험했다는 소년공 출신 이 대통령은 "노동 문제는 인권과 상식의 문제"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임금 체불 문제든 산재 문제든 목숨과 삶에 관한 기본인데 그걸 가지고 친노동이니 친기업이니 할 일은 아닌 것 같고요."
이재명 정부는 주 4.5일제, 정년 연장 65세 등 굵직한 노동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노동자와 사용자, 정부가 함께 고민해야 하는 큰 주제인 만큼 이 대통령은 '대화'를 강조했습니다.
99년 민주노총에 이어 지난해 한국노총까지 이탈한 대통령 직속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 양대 노총 모두 합류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아니, 뭐 결론이 안 나고 싸우는 것까지 좋은데 만나서 싸우든지 말든지 결론을 내든지 말든지 해야지 아예 안 보는 걸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고용의 안전성과 유연성, 기업의 부담까지 터놓고 이야기하자는 겁니다.
두 위원장 모두 경사노위 참여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는데, 민주노총이 이미 합류를 선언한 국회 주도 사회적 대화기구가 속도를 먼저 낼 전망입니다.
모처럼 대통령을 만난 노동계는 노동자 권리 강화를 요청했습니다.
한국노총은 정년연장과 4.5일제 시험도입을,
[김동명/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즉시 주 4.5일제 시행이 가능한 곳에 대해서는 정부가 나서서 최대한 권장하고 독려하는 역할을…"
민주노총은 소외된 노동자들의 노동권 보장을 요구했습니다.
[양경수/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5인 미만 사업장 노동자들도 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어야 하고, 특수고용·플랫폼 노동자도 예외 없이‥"
양대 노총 모두 노란봉투법 통과에 대해 환영의 뜻을 전했고, 미국과의 무역협상에 관련해선 국내 일자리 감소가 우려된다는 의견도 나왔습니다.
MBC뉴스 정상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