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v.daum.net/v/20250901190837515
미분양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아파트를 통째로 매각하는 사례가 나왔다.
1일 공개 매각을 위탁받은 S자산회사에 따르면 제주시 하귀1리 H아파트 424세대를 통매각한다.
오는 8일 공개 입찰로 나온 해당 아파트의 최저입찰가는 4006억원으로 책정됐다.
해당 아파트는 대기업 계열사인 H중공업이 2023년 7월 425세대를 분양했지만, 대규모 미달 사태를 빚은 바 있다.
하귀리 일주도로변에 있는 이 아파트는 지상 8층·지하2층 17개 동으로 전용면적 84㎡ 기준 최고 분양가는 8억9110만원이다.
1·2순위 청약에서 115명이 접수해 310세대가 미분양 물량으로 남았다. 84㎡는 신청자가 73명에 그쳤다. 이마저 계약 포기가 속출하면서 단지 전체는 텅 빈 건물이 됐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시공사는 공사비 355억원을 받지 못했다며 시행사와 대주단을 상대로 법원에 공사대금 반환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감정평가는 84㎡ 기준 최고 7억4800만원, 122㎡는 10억5600만원, 76㎡는 6억7000만원으로 책정됐다. 전체평가액은 3336억이다. 최저입찰가는 이보다 높은 4006억원이다.
S자산회사 관계자는 "사전에 입주한 일부 세대를 제외한 424세대 전체 세대를 경쟁입찰 방식으로 매각을 한다"고 밝혔다.
제주지역에서 미분양 사태로 대단지 아파트를 통째로 매각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부동산업계는 미분양 사태로 주택경기가 얼어붙으면서 투자금조차 회수하기 어려워지자 '아파트 통매각'이 나온 것으로 분석했다.
이번 사례를 볼 때 대형 건설사들이 지은 아파트마저 분양이 저조하면서 제주 주택시장은 당분간 침체를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토교통부가 최근 발표한 올해 7월 말 현재 제주지역 미분양 주택은 2486호다. 이중 악성 미분양(준공 후 미분양)은 1611호(64.8%)로,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해당 아파트 위치는 요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