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도 전 세계 사무실이나 학교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세계 지도입니다.
16세기에 개발된 방법으로 제작된 이 지도에선 두 지점 사이의 각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이 때문에 나침반과 각도기만 있어도 방향을 쉽게 찾을 수 있어 유럽의 대항해 시기에 널리 사용됐습니다.
그러다 제국주의 시대를 거치면서 세계 표준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하지만 심각한 결함도 있습니다.
위도가 높아질수록 간격이 넓어지다 보니 면적이 더 크게 그려지는 걸 피할 수 없습니다.
실제로 북극에 가까운 그린란드의 면적은 아프리카의 1/14에 불과하지만, 지도에선 오히려 더 크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모키 마쿠라 / '아프리카 노 필터' 이사 : 아프리카는 6개 시간대를 가지고 있습니다. 정말 거대하죠. 일본과 인도, 중국, 유럽 대부분, 그러니까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까지 30개국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입니다. 그런데 지도에서는 훨씬 작아 보입니다.]
수십 년 전부터 논란이 이어진 가운데 결국, 아프리카 50여 개 나라로 구성된 아프리카연합이 공식적으로 사용 중단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가짜 정보 때문에 그릇된 고정관념이 재생산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파라 니디아예 / '스피크 업 아프리카' 창립자 : 더 작은 대륙의 모습을 보여주는 건 아프리카의 중요성과 역량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2018년에 새로 선보인 지도를 대안으로 제시했습니다.
아프리카의 요구에 카리브 공동체도 동의했고, 세계은행도 단계적으로 지도를 교체해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유엔 대변인은 전문가 위원회의 검토를 거쳐 최종 결정을 내리겠다고 응답했습니다.
YTN 유투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