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X호 때문에 미치겠어요"…'총소리·비명'에 입주민 '공포'

유머/이슈

"60X호 때문에 미치겠어요"…'총소리·비명'에 입주민 '공포'

최고관리자 0 3 08.13 21:56


엘리베이터 벽면 가득한 붉은 글씨 호소문
"옆집 윗집 모두 이사갔다"…피해 확산
24시간 켜진 우퍼 스피커, 고의성 의심
50도 담금주·대형 우퍼 배송에 퍼진 불안

해당 오피스텔 소통 공간/사진=유지희 기자

해당 오피스텔 소통 공간/사진=유지희 기자

"60X호의 악의적인 소음 문제로 경찰 신고로도 해결 안 됩니다.
주민들이 다 같이 지역구 의원에게 경찰과 구청이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도록 도움 요청 전화를 합시다."

ㄴ"60X호 가만안둔다 조심해라"
ㄴ"진동 뭐임, 들리면 안되는 위치인데"
ㄴ"사람 안사는듯 사람 사는지 확인해봐"
ㄴ"12층도 들린다 미치겠다"
ㄴ"경찰도 속수무책이라고요?"
ㄴ"제발 모두 전화하세요."



서울 마포구 한 오피스텔. 엘리베이터 벽면에는 붉은 글씨로 인쇄된 호소문이 붙어 있었고, 그 옆에는 같은 이유로 고통받는 입주민들의 손글씨 사연이 빼곡히 적혀 있었다.

이 건물의 '60X호 전쟁'은 작년 봄 시작된 뒤 1년 반 넘게 끝날 기미가 없다.

하루 24시간, 한 세대에서 흘러나오는 진동과 소리가 건물 전체를 흔든다.

경찰 신고는 50차례를 넘겼지만, 아무것도 해결되지 않았다.

해당 호수 문 앞/사진=유지희 기자

해당 호수 문 앞/사진=유지희 기자
12일, 기자가 직접 해당 오피스텔을 찾았다.

6층에 내리자마자 발바닥에 '웅' 하는 진동이 발끝으로 스며들었다.

복도 공기가 미세하게 떨렸고, 바닥은 공연장 우퍼 앞처럼 묵직하게 울렸다.

데시벨 측정기는 70~75 dB 을 기록했다. 이는 '시끄러운 사무실' 수준이며, 이 소리가 온종일, 단 1분도 쉬지 않고 이어진다.

60X호 문 앞에는 '게임 등 소음 발생주의 ',  '60X호 최종 경고' 등의 안내문이 여러 장 붙어 있었다. 

문에 귀를 대자 둔탁한 저음이 규칙적으로 이어졌고, 문짝 전체가 미세하게 떨렸다.  

기자가 문을 두드렸지만, 응답은 없었다.

해당 오피스텔 복도/사진=유지희 기자

해당 오피스텔 복도/사진=유지희 기자
주민들에 따르면, 처음 소음은 지난해 5~6월경 세탁기와 비슷한 진동에서 시작됐다. 

간헐적이던 소음은 올해 3월부터 본격적으로 커졌다. 

골전도 우퍼 스피커를 통해 총소리, 괴물·여자 비명과 유사한 소리, 노랫소리 등이 변주처럼 흘러나왔고, 피해 범위도 3층부터 13층까지로 확대됐다.

아래층에 거주하는 40대 A씨는 "이 집이 상속받은 집이고 실소유주라 제재할 방법이 없다고 했다"며 "예전에는 안마기 소리 정도(40~50 dB )라 참을 수 있었지만, 우퍼 스피커를 바꾼 뒤부터 지금은 70 dB 이 넘는다. 어제도 잠을 못 자고 가슴이 두근거려 괴로웠다" 고 말했다.

A씨는 "온 집이 울리는데 정수기 물이 찰랑찰랑할 정도" 라며 "경찰관은 그냥 '이사 가라'는 말뿐이고 보통 출동하면 두 시간씩 와서 문을 발로 차고 그러는데도 소용없다" 고 호소했다.

바로 위층의 20대 B씨는 "재택근무를 하는 입장인데 4시간 내내 소음이 나고, 데시벨이 커졌다 작아졌다 하니 업무에도 집중이 어렵다"며 "관악구에서 복층 구조라 좋아서 이사 왔는데 이런 소음이 있을 줄 알았으면 절대 안 왔다. 잠을 못 자고 삶의 질이 떨어진 상태"라고 토로했다.

인근 세대에 사는 30대 직장인 C씨는 "2년 전에 이사 왔는데 소음이 정말 심하다. 진동이 집 안에 가만히 있어도 느껴지고, 새벽과 밤에도 들린다. 24시간 켜놓는다"며 "최근 2주 전부터 골전도 우퍼 스피커 같은 장비로 고의로 층간소음을 내는 것 같다. 택배 기사님이 관리실에 우퍼 스피커를 배달했다고 얘기했다고 했다 "고 전했다.

C씨는 "서울시 층간소음센터에 중재를 요청했지만, 법적 근거가 없어 행정력으로도 해결이 안 된다. 구청에도 얘기했지만, 오피스텔은 준주택이라 책임 없다는 식으로 나온다 "고 했다.


인접 세대의 피해 사진/사진=제보자 제공

인접 세대의 피해 사진/사진=제보자 제공
인접 세대에서는 부엌 타일이 떨어지고 찬장의 그릇이 진동으로 낙하했으며, 벽지와 실리콘 마감이 터지는 등 구조 손상 피해도 발생했다

주민들은 정신적·육체적 고통뿐 아니라 재산상 피해까지 호소하고 있다.

또 다른 주민 30대 D씨는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을 끼고 자도 소리는 막히지만, 진동이 몸을 타고 들어와 새벽에 한두 번씩 깬다. 맞은편 집은 타일이 떨어졌고, 우리 집은 실리콘 마감과 벽지가 다 터졌다. 재산 피해뿐 아니라 정신적 피해가 크다"며 "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을 껴도 진동이 몸을 타고 들어와 새벽마다 깬다. 이에 소화기를 들고 문을 부수겠다는 사람까지 나왔다"고 말했다.

D씨는 "이사하려고 해도 집을 내놓으면 부동산에서 매물 받기를 꺼리고, 소문까지 나서 집을 보러 오는 사람도 없다. 월세면 나가겠지만 전세라 쉽게 나갈 수도 없다" 며 "퇴근길에 귀를 대보면 수도 트는 소리, 바스락거리는 소리도 들린다. 그런데 문을 두드리면 인기척을 싹 없앤다"고 말했다.

관리사무소에 따르면, 60X호 거주자는 평소 초인종·인터폰을 꺼두고 전화를 받지 않는다.

관리사무소가 수도·가스 사용량을 점검한 결과, 매일 일정량이 꾸준히 사용돼 내부에 거주자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CCTV 에는 문을 살짝 열어 택배를 들여놓는 모습이 찍혔는데 40대 여성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관리사무소장 김모 씨(68)는 "6개월 넘게 우퍼 스피커를 틀어놨다. 옆집 몇 번 이사 갔고, 전세는 안 나간다. 2018년부터 관리했지만 이렇게 장기화한 사례는 처음"이라며 "빗발치는 민원에 지구대도 나오고 경찰서에서도 나온다. 형사 한 분이 증거를 더 모아 영장 발부를 추진하겠다고는 하지만 장담은 못 하겠다고 했다 "고 설명했다.

김 씨는 "초기에는 옆집 피해를 줄이려고 벽 사이에 스피커 틈새를 메꿔주려 했는데, 오히려 소음이 더 커졌다. 자기가 소리를 내면서 안정감을 느낀다고 얼핏 들은 적도 있다"며 "낮에도 시끄럽지만, 밤엔 더 심하다. 이제 10층 이상에서도 피해를 호소해 관리사무소 업무가 마비될 정도 "라고 토로했다.


우편함에 꽂혀있는 경찰 소환장/사진=유지희 기자

우편함에 꽂혀있는 경찰 소환장/사진=유지희 기자
경찰도 50차례 넘는 신고를 받고 현장에 출동했지만, 문을 열지 않아 강제 진입이 어려운 상황으로 알려졌다.

현재 마포경찰서 수사과에 소음 관련 경범죄로 사건이 접수됐으며, 세 차례 출석 요구에도 불응하자 압수수색 영장 신청이 검토되고 있다.

이날 기자가 확인해본 결과 우편함에는 관할 경찰서가 보낸 소환장 여러 장이 그대로 꽂혀 있었다.

60X호 소음 사태는 온라인 지역 커뮤니티에서도 '뜨거운 감자'다.

한 누리꾼은 "여기 입주할 생각 있는 사람이라면 신중하게 고민해라. 한 세대가 엄청 심각하게 소음 내는데, 그 층은 복도부터 클럽 수준"이라며 "피해 보는 세대가 엄청 많고, 경찰에 수십 번 신고해도 반년 넘게 해결이 안 된다. 나도 이사 나갈 예정"이라고 했다.

이에 같은 오피스텔에 사는 것으로 추정되는 누리꾼은 "잠 한숨도 못 자서 정신적으로 병이 올 것 같다. 오늘은 본가 가서 자려고 한다. 며칠 전에도 경찰이 왔는데, 이렇게 가면 오피스텔 똥값 되겠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누리꾼도 "오늘 밤에 막 쿵쿵 두드리는 소리가 나더니 거의 한 시간 이상 이어져 잠이 다 달아났다"며 "진짜 뭔 일 날까 무섭다. 집 문이 아니라 벽을 치는 소리가 난다"고 썼다.

이와 함께 알코올 도수 50도 이상 담금주 대용량 제품과 대형 우퍼 스피커가 최근 배송된 사실도 알려지면서 주민들 사이에서는 "혹시 불을 내는 건 아닌가" , "술 먹고 해코지할 수 있다"는 흉흉한 소문도 퍼지고 있다.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게티이미지뱅크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게티이미지뱅크 취재 결과 60X호 거주자는 해당 호실의 실소유주로, 임대인을 통한 제재가 불가능하다.

관리사무소와 서울시 층간소음센터가 여러 차례 중재했으나, 법적 근거가 없어 강제 제재는 한계에 부딪혔다.

전문가들은 상해죄 등 형사 고소 가능성을 언급하지만, 정신과 진단서 발급까지 2~3개월이 걸리고, 병력이 남아 보험·취업에 불이익이 있을 수 있어 주민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고 있다.

이번 사태는 생활 소음 규제의 사각지대를 드러낸다. 

오피스텔이 준주택으로 분류되면 지자체의 행정 개입이 제한되고, 경찰도 강제 진입 요건이 까다로워 즉각 대응이 어렵다.

지역 경찰관은 이 사안에 대해 "소음 민원과 관련해 구체적인 내용은 말씀드리기 어렵다"며 "현재 강제 조치 방안을 검토 중이고, 소음 문제는 관리사무소에 문의하길 바란다. 문을 열 수 있는 법적 요건도 함께 살펴보고 있다"고만 말했다.

"60X호 때문에 미치겠어요"…'총소리·비명'에 입주민 '공포' [현장+]


와,, ㅎㄷㄷ



Comments

Category
반응형 구글광고 등
State
  • 현재 접속자 87 명
  • 오늘 방문자 614 명
  • 어제 방문자 917 명
  • 최대 방문자 2,535 명
  • 전체 방문자 190,839 명
  • 전체 게시물 40,566 개
  • 전체 댓글수 0 개
  • 전체 회원수 65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