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 7조 1항' 흔드는, 대형로펌 내 희한한 존재들

유머/이슈

'헌법 7조 1항' 흔드는, 대형로펌 내 희한한 존재들

최고관리자 0 1 20:16


ec70afae7dfbced2dfe44acbe5466761_1754392574_6062.png

c39d891a996a2127d96ed2a0ffb57a77_1754392574_7504.png


지난번 글에서 대형로펌에 있는 '한덕수'들의 문제를 지적했다. 만약 전직 고위 관료 출신들이 대형로펌의 '고문'으로 있으면서 행정부의 의사결정에 관여하고 있다면, 이는 정부의 신뢰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행위로 볼 수 있다(관련기사 :  대형로펌 곳곳에 포진한 '한덕수들'...고액연봉 받고 그들이 하는 일  https://omn.kr/2enj9).

'헌법 7조 1항'을 위협하는 대형로펌 고문

이는 '공무원은 국민 전체에 대한 봉사자이며 국민 전체에 대하여 책임을 진다'라는 헌법 7조 1항을 흔드는 것이기 때문이다.


'고위 공무원' 경력을 이용해서 퇴직 후에 대형로펌에서 수 억 원의 연봉을 받으면서 현직 공무원들의 의사결정에 관여하고 있다면, 이는 공무원을 국민 전체에 대한 봉사자가 아니라 이해관계집단에 대한 봉사자로 전락시킬 수도 있다는 이야기다.

이런 대형로펌 고문들을 보면서 현직 공무원들이 무슨 생각을 하겠는가? 행여나 현직 공무원이 '나도 퇴임 후에 대형로펌에 고문으로 가서 수 억 원 연봉을 받아야지'라고 생각하면서 일을 하고 있다면, 그 공무원이 국민을 위해서 일하겠는가? 아니면 선배들이 가 있는 대형로펌과 그들의 의뢰인을 위해 일하겠는가?

그리고 설사 현직 공무원들이 대형로펌 고문들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이것은 신뢰의 문제다. 전직 공무원이 공무원 경력을 이용해서 법률전문가도 아닌데 대형로펌에서 수 억 원 연봉을 받으면서 정체 모를 역할을 하고 있다면, 국민들이 어떻게 행정을 신뢰하겠는가?

지난번 글에서 언급한 사안만 해도 매우 심각하다. 폐기물관리법에서 정한 산업폐기물매립장 허가신청기간(최대 5년)을 대형로펌이 관여해서 유권해석을 바꾸는 방법으로 사실상 무력화시켰기 때문이다.

폐기물관리법에는 '적합통보(사전허가)를 받은 후 최대 5년 이내에 본허가를 신청해야 한다'라고 되어 있는데, 환경부 유권해석을 통해서 사업계획을 약간만 바꾸면 이 조항을 피해 갈 수 있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즉 '사업계획을 약간만 바꾸면 허가신청기간 5년이 새로 시작된다'로 만든 것이다. 그래서 사실상 허가신청기간 5년의 의미가 사라진 상황이다.

최근 경기도 연천군에서 산업폐기물매립장을 추진하던 업체가 5년의 허가신청기간이 끝나가자, 매립장 설계만 약간 바꿔서 '허가신청기간 5년'을 피한 사례도 있다.

이렇게 국회가 만든 법률의 취지를 행정부 유권해석으로 사실상 무력화시켰는데, 그것이 특정 업체를 위해 대형로펌이 관여한 결과인 것이다. 그리고 그 대형로펌에 있는 환경부 고위직 출신이 그 과정에 어떤 형태로든 참여했다는 것이다.

환경부 차관 이상 3명이 김앤장 고문으로 재직

필자가 대형로펌 전체의 실태에 대해 조사할 역량은 안 되기 때문에, 김앤장이라는 국내 최대 로펌에 있는 환경부 고위 관료 출신들만 찾아 보았다. 김앤장 홈페이지에 나와 있는 전문가 이름과 경력을 통해서 찾아낸 것이다.

환경부 차관 이상만 무려 3명이 김앤장의 고문으로 있었다. 그 중 1명은 환경부 장관을 지냈다.

김앤장 A고문의 경력
- 환경부 차관(2011.7.~2013.3.)
- 환경부 환경정책실장(2010.4.~2011.7.)
- 환경부 기후대기정책관, 상하수도국장, 자원순환국장(2004~2010)
- 환경부 공보관(2003~2004)
- 주 UN 대표부 참사관(1998~2001)
- 환경부 법무담당관, 재활용과장, 폐기물 정책과장, 기획예산담당관, 총무과장 등(1993~2003)
김앤장 B고문의 경력
- 김·장 법률사무소(2008.6.~현재)
- 환경부 장관(2007.9.~2008.2.)
- 환경부 차관(2006.2~2007.9.)
- 기획관리실장, 정책홍보관리실장(2003.3.~2006.1.)
- 환경정책국장(2001.3.~2002.8.)
- 수질보전국장(2000.7.~2001.3.)
- 대기보전국장(1999.1.~2000.7.)
김앤장 C고문의 경력
- 환경부 환경정책실장, 차관(2015~2017)
- 대통령비서실 기후환경비서관(2013~2014)
- 환경부 물환경정책관(2011~2013)
- 대통령비서실 미래기획관실 선임행정관(2010~2011)
- 환경부 대변인, 녹색환경정책관(2008~2010)
- 혁신인사기획관(운영지원과장)(2007~2008)


환경부만 찾아봤는데 차관 이상만 3명이 고문으로 있는 것이다. 이런 실정이니, 행정부의 전직 고위관료 중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대형로펌의 고문으로 있겠는가?

대형로펌의 고위관료 출신 고문들에 대한 전수조사 필요

그래서 대형로펌에 있는 고위 관료 출신 고문들에 대한 범 정부 차원의 전수조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것은 공직에 대한 최소한의 신뢰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일이다.

얼마나 많은 전직 고위 관료출신들이 대형 로펌의 고문으로 있는지, 이들이 얼마나 많은 연봉을 받고 있는지부터 파악이 되어야 한다. 또한 이들 중 상당수가 행정부의 각종 위원회 위원으로 참여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그에 대한 실태조사도 필요하다.

그리고 필자의 예상대로 수많은 전직 고위관료 출신들이 여러 대형로펌에서 수억대의 연봉을 받고 있다면, 이들이 로펌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조사가 필요하다.

평생을 공무원으로 일하다가 퇴직한 이들이 할 수 있는 일이라는 것이 무엇이겠는가? 이들은 어떤 형식으로든 행정부의 의사결정에 관여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그것이 아니라면 대형로펌들이 이들에게 고액의 연봉을 지급할 이유가 없다.

대한민국 공직사회 개혁을 위해서는 대형로펌 '고문'에 대한 전면적인 실태조사가 필요하다.

2474d619cbde2462998f69dd3d0e9eb3_1754392574_8665.png

대한민국의 암덩어리 김앤장...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0785 논리 인정 최고관리자 22:34 0
10784 실시간 핵심 기술 유출된 tsmc.jpg 최고관리자 22:34 0
10783 고기 50kg 버리는 방법 좀 구한다는 디시인.jpg 최고관리자 22:32 0
10782 70대 노인에게 나체사진을 보내는 범인의 정체.jpg 최고관리자 22:30 0
10781 대전산부인과에서 산모가 무통주사로 심정지되어 사망했습니다. 최고관리자 22:25 0
10780 크면 감당이 안되는.mp4 최고관리자 22:15 0
10779 여자피부에 올리브영 보다 좋다는 정액ㄷㄷ.jpg 최고관리자 22:12 0
10778 민트맨 최고관리자 22:10 0
10777 업소 에이스녀와 결혼한 사장. 최고관리자 22:05 0
10776 오이월드 최고관리자 21:54 0
10775 Ok~baby 최고관리자 21:48 0
10774 연애에 대해 진지한 조언을 해주는 경험자 최고관리자 21:45 0
10773 장례식때 시체를 지켜야하는 이유 최고관리자 21:44 0
10772 상속 관련 레전드 사건 ㄷㄷㄷㄷㄷㄷㄷ.jpg 최고관리자 21:42 0
10771 벗으면 굉장하다 뜻 최고관리자 21:36 1
Category
반응형 구글광고 등
State
  • 현재 접속자 120 명
  • 오늘 방문자 874 명
  • 어제 방문자 863 명
  • 최대 방문자 2,535 명
  • 전체 방문자 183,044 명
  • 전체 게시물 32,965 개
  • 전체 댓글수 0 개
  • 전체 회원수 48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