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 이웃이자 동맹인 미국을 상대로 무역 협상을 벌였으나 오히려 35%로 상향된 관세 폭탄을 받아든 캐나다에서 미국산 불매 운동을 필두로 반미 정서가 번지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1일부터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에 포함되지 않는 모든 캐나다산 제품에 대해 관세를 기존 25%에서 35%로 올렸습니다.
지난 2월 미국이 캐나다에 25% 관세를 적용한 이후 미국산 불매가 확산했던 캐나다에서는 이번에 관세 인상으로 불매 운동이 거세게 번지는 분위기입니다.
캐나다 CBC 방송은 무역 협상 시한이 지나고 캐나다산 수출품에 35% 관세가 부과된 가운데 캐나다인들이 일상에서 무역 전쟁에 어떻게 대응하는지 소개했습니다.
상당수 캐나다인이 '미국산만 아니면 뭐든 괜찮다'며 캐나다산 제품을 더 많이 구매하고, 미국 여행을 피하고 소비에 신중해지기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CBC의 시청자 조사에서는 특히 식료품 매장에서 제품이 어디서 생산됐는지 확인하는 습관이 생겼다는 응답이 많았습니다.
또 캐나다인들은 자산이나 투자금을 미국에서 캐나다로 옮기고, 미국 스트리밍 서비스를 해지하는 사례도 늘고 있습니다.
이 밖에 캐나다인들은 겨울에 미국에서 장기 체류하는 이른바 '스노 버드(snowbird)' 여행을 중단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미국산 불매에 나섰다고 CBC는 전했습니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를 비롯해 캐나다 정치권과 경제계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실망감을 공개적으로 드러냈습니다.
카니 총리는 35% 관세 확정 이후 발표한 성명에서 관세 인상을 두고 "캐나다 정부는 이 조처에 실망했다"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