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벌레 물려 심부전…"백신도 없다" '침묵의 살인자' 확산

유머/이슈

이 벌레 물려 심부전…"백신도 없다" '침묵의 살인자' 확산

최고관리자 0 28 09.08 17:55

벌레 물린 후 심부전…"백신도 없다" '침묵의 살인자' 확산에 미국 발칵
입력  


0d0bc762f9ad8378209485a20ab35a70_1757321701_0628.jpg



미국에 '샤가스병( Chagas   disease )'이 확산돼 비상이 걸렸다.

5일(현지시각) 로스앤젤레스타임스, 뉴욕포스트 등에 외신에 따르면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CDC )는 샤가스병이 최소 32개 주에서 발견됐다고 발표했다. 일부 과학자들은 이를 미국 내 토착 질환으로 공식 인정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현재 미국 내 감염자는 약 30만명으로 추산되며 최소 8명이 국내 전파로 감염된 것으로 보고됐다.

샤가스병은 크루즈트리파노소마 기생충 감염으로 원래 남미 시골 지역에서 주로 발발했다. 전파 매개체는 '키싱 버그( kissing   bug )'라고 불리는 흡혈노린재다. 이 곤충은 사람의 얼굴, 특히 입과 눈 주변을 물고, 그 과정에서 남긴 배설물이 상처나 점막을 통해 체내로 들어가 감염을 일으킨다. 장기 기증, 수혈, 임신 중 태아 전파도 가능하다.

미국에서는 11종의 키싱 버그가 발견됐으며 텍사스, 뉴멕시코, 애리조나에서 목격 사례가 많다.  CDC 와 텍사스 A&M대 연구팀에 따르면 미국 내 키싱 버그의 약 55%가 샤가스병 기생충을 보유하고 있다.

샤가스병은 급성기와 만성기로 나뉜다. 급성기에는 대부분 증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발열, 피로, 몸살, 눈꺼풀 부종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만성기에는 심장 부정맥, 심부전, 소화기 문제 등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감염 후 10~30년 뒤에도 나타날 수 있다.

치료는 급성기에만 항기생충제인 벤즈니다졸( benznidazole )과 니푸르티목스( nifurtimox )를 통해 가능하며 백신은 아직 없다. 만성기에는 증상 관리가 중심이 된다.

전문가들은 "샤가스병은 미국에서 '잊힌 열대병'이자 '침묵의 살인자'"라며 " CDC 와  WHO 가 공식적으로 토착 질환으로 인정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하 생략) 


ㅎㄷㄷㄷ 별 이상한 벌레가 다 있군요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5892 찐으로 부산에서만 볼 수 있는 주거 건축 양식 최고관리자 09.09 30
25891 일본인 여자친구가 챙겨줬다는 생일상 최고관리자 09.09 30
25890 신장 184cm 일본 여성, AV배우 데뷔 예정 최고관리자 09.09 31
25889 존예녀가 손님 앞에서 춤춰주는 식당 최고관리자 09.09 31
25888 골든 부르는 우영우 변호사 최고관리자 09.09 32
25887 대학축제에 뜬 여캠의 공연 최고관리자 09.09 33
25886 중소갤 소개팅 복장 착용 전 후 최고관리자 09.09 35
25885 故 최진실 딸 최준희 근황 최고관리자 09.09 31
25884 도로주행 7번째 떨어진 사람의 한탄 최고관리자 09.09 31
25883 오랜만에 현지 식당을 간 독일 여자 최고관리자 09.09 30
25882 의외로 한국인이 모르는 위인 최고관리자 09.09 30
25881 군대가 더 편했다는 직업군 최고관리자 09.09 28
25880 삼겹살 먹다 부상 당했던 유민상 최고관리자 09.09 27
25879 뱅크시의 새로운 벽화 등장 최고관리자 09.09 28
25878 박보검과 SK 그분 최고관리자 09.09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