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팀, 사이언스지 표지 논문 선정) "물 위를 뛰어다녀" 소금쟁이 로봇 개발 성공

유머/이슈

(국내 연구팀, 사이언스지 표지 논문 선정) "물 위를 뛰어다녀" 소금쟁이 로봇 개발 성공

최고관리자 0 25 08.23 01:16

"물 위를 뛰어다녀" 소금쟁이 로봇 개발 성공 / SBS / #D리포트



소금쟁이 로봇이 가운데 다리를 휘저으며 물살을 가르고 앞으로 나아갑니다.

실제 소금쟁이의 움직임과 유사합니다.

소금쟁이처럼 물 위에서 움직이는 로봇을 만들려는 시도는 기존에도 있었지만 번번이 실패했습니다.

가볍게 만들면, 떠 있긴 쉬워도 물 위에서 힘차게 헤엄치기 어려웠던 겁니다.

연구팀은 부채다리 소금쟁이에서 힌트를 얻었습니다.

소금쟁이 로봇의 다리를 물에 넣자마자 부채꼴 형태로 21개의 인공털이 펼쳐집니다.

펼쳐지는 시간은 고작 0.01초, 로봇은 이 부채꼴 털을 노처럼 저어 빠른 추진력을 얻는 겁니다.

[고제성/아주대학교 교수 : 표면장력이 아주 가장 큰 힘입니다. 못 빼요, 이렇게 그냥 가만있으면. 이거를 이렇게 오므라들지 않으면 얘가 아무리 힘을 줘도 물이 잡아당겨서 밖으로 뺄 수가 없습니다.]

기존 연구의 한계는 이런 다리 구조를 근육의 힘이라 생각해 모터를 이용해 구현하려 했다는 겁니다.

연구팀은 실제 소금쟁이의 다리가 탄성 모세관 현상으로 순식간에 펼쳐진다는 걸 파악하고 이를 로봇에 적용했습니다.

[물에 들어가면 탄성력 때문에 펼쳐지고, 빼면 표면장력 때문에 오므라드는 elastocapillary(탄성모세관) 현상을 볼 수가 있습니다. 근육이 없이도 구동이 되는 거죠. 모터를 만들 필요가 없어요.]

그 결과 물속에서 동력 없이 펼쳐지고 밖에선 스스로 오므라드는 다리를 구현했고 마침내 물 위를 뛰어다니는 소금쟁이 로봇 개발에 성공한 겁니다.

이번 연구결과는 최고 권위 학술지 중 하나인 사이언스지의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습니다.

향후 차세대 수상 로봇, 해양 탐사, 수난 구조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9911 부엉이 크기 체감 최고관리자 08.26 33
19910 야한 단어 써보라는 일본 공중파 최고관리자 08.26 27
19909 노트북 키보드가 안 눌리는 이유 최고관리자 08.26 53
19908 댓글을 막을 수 밖에 없던 KBS 대구 최고관리자 08.26 49
19907 무식한 촌놈들아 형님이 고급 식당 매너 알려준다 최고관리자 08.26 24
19906 관찰예능에 따라 다니는 제작진 숫자 최고관리자 08.26 25
19905 그린 리트리버 최고관리자 08.26 18
19904 만약에 니 가족이라도 안비키고 있을꺼냐 최고관리자 08.26 53
19903 와 이효리는 정말 최고네요 최고관리자 08.26 48
19902 햇빛 좋다옹 최고관리자 08.26 28
19901 토끼 먹방 최고관리자 08.26 24
19900 치명적이다옹 최고관리자 08.26 17
19899 입술은 왜 내미냥 최고관리자 08.26 20
19898 막내딸이 아빠 밥을 차려줄 수 없는 이유ㅠㅠ 최고관리자 08.26 20
19897 주인 잘못 만난 멍뭉이 최고관리자 08.26 17
Category
반응형 구글광고 등
State
  • 현재 접속자 77 명
  • 오늘 방문자 749 명
  • 어제 방문자 1,632 명
  • 최대 방문자 2,535 명
  • 전체 방문자 210,434 명
  • 전체 게시물 54,724 개
  • 전체 댓글수 0 개
  • 전체 회원수 69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