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독사 위험군’ 전국 17만 명 첫 확인…“체계적 관리 시급”

유머/이슈

‘고독사 위험군’ 전국 17만 명 첫 확인…“체계적 관리 시급”

최고관리자 0 35 09.16 07:35

[앵커]
고령층 1인가구가 급증하면서 고독사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올랐습니다.
정부 조사에서 전국 17만 명 이상이 고독사 위험군인 것으로 처음 확인됐습니다.
이번 조사에선 실제 고독사한 사례가 제외된 걸로 드러나 체계적인 관리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성수 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

[리포트]
제대로 풀지 않은 이삿짐이 집안 구석구석 어지럽게 널려 있습니다.
사업 실패 후 가족과 단절됐던 60대 남성이 지난해 이 오피스텔에서 혼자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이런 비극을 막기 위해 보건복지부가 지자체와 함께 고독사 위험군을 처음 조사했습니다.
소득이 있는지, 타인과 소통을 얼마나 하는지, 그리고 공과금 체납 여부 등 10가지를 물었습니다.
그 결과 전국에서 17만 명이 위험군으로 나타났습니다.
위험군으로 분류되면 지자체에서 주기적으로 안부를 확인하고 생활개선 지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지난 3월 서울 강남구 빌라에서 고독사한 50대 남성은 위험군에서 빠져 있었습니다.
직업도 없는데다 3~4개월치 공과금이 밀려 있었지만, 도움의 손길이 미치지 못했습니다.
[인근 주민/음성변조 : "지나가다 보면 그냥 못 본 척 지나가고 해서, 인사하거나 그러진 않거든요."]
고독사 위험군 조사가 기초생활수급자만을 대상으로 이뤄졌기 때문입니다.
지자체별 통계도 들쭉날쭉합니다.
인구가 대략 140만 명인 광주광역시는 위험군이 3만여 명이지만, 인구가 약 10배 많은 경기도는 만여 명에 불과했습니다.
여기에 성별, 연령별 분류도 안 돼 고독사 위험군에 대한 맞춤형 대책도 마련할 수 없습니다.
[서미화/국회 보건복지위원/더불어민주당 : "적극 행정을 통한 위험군 발굴을 해야 하고 복지부는 시스템 전산화로 대상자에 대한 개인별 맞춤형 지원을 해야 합니다."]
최근 5년 동안 연평균 5.6%씩 늘어 1년에 3천여 명이 고독사한 걸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8934 코알라한테 똥침놓은 앵무새 최고관리자 09.16 40
28933 해맑은 대학생 최고관리자 09.16 40
28932 샘 스미스 완전 달라진 최근 모습 ㄷㄷ 최고관리자 09.16 40
28931 "0이 몇개야.." 벌금 4억? '촉 미쳤다' 트럭의 정체 최고관리자 09.16 38
28930 의외로 스타벅스에서 공짜인 것 최고관리자 09.16 28
28929 시대별 한국 치킨 변화 최고관리자 09.16 35
28928 대학생이 뽑은 최악의 선배 최고관리자 09.16 34
28927 중학교 1학년 최고관리자 09.16 27
28926 혼밥 레벨 테스트 최고관리자 09.16 27
28925 세계선수권 레슬링 경기중 난투극 발생 최고관리자 09.16 33
28924 담양군, "경마공원 유치 나선다" 최고관리자 09.16 35
28923 SK 최태원 회장님 개빡침 최고관리자 09.16 31
28922 탈북자, "진짜 헬조선에서 사는건 당신들이 아니라 나였다" 최고관리자 09.16 37
28921 간식 주는 이모 때문에 사자후 지르는 아기 최고관리자 09.16 34
28920 초등학교 1학년 여학생의 복수 최고관리자 09.16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