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산불 잊고 '푸릇' 스스로 회복…환경단체 "인공 조림 멈춰야"

유머/이슈

(경북) 산불 잊고 '푸릇' 스스로 회복…환경단체 "인공 조림 멈춰야"

최고관리자 0 47 09.12 07:25


산불 잊고 '푸릇' 스스로 회복…환경단체 "인공 조림 멈춰야" / SBS / #D리포트



지난 3월 초대형 산불로 9만여ha가 잿더미로 변한 경북 지역입니다.

6개월이 지난 지금 푸릇푸릇한 어린나무들이 자라나고 있습니다.

대부분이 상수리와 신갈나무 등 활엽수로, 1m가 넘게 자란 나무도 있습니다.

흙 속에 묻혀 있던 활엽수 씨앗들이 산불 이후 싹을 틔워 올라온 겁니다.

경북 의성의 또 다른 산불 피해 지역입니다.

산불로 모두 불에 타 전소됐던 곳이지만 지금은 이렇게 새로 올라온 어린나무들로 뒤덮여 있습니다.

녹색연합은 경북 5개 시군의 산불 피해지를 지켜본 결과 80%가 넘는 지역에서 숲이 자연적으로 회복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산불 피해 지역에서 관행적으로 해오던 인공 조림을 멈춰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지난 2021년 안동 산불 이후 인공 조림 지역에서 나무가 잘 자라지 않고 조림을 위해 산에 길을 내면서 되레 산림을 훼손했다는 겁니다.

[서재철/녹색연합 전문위원 : 식생이 이렇게 회복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제대로 모니터링을 안 하기 때문에 관습과 관행에 따른 인공 조림을 계속 시행하고….]

산림청은 국내 산불 피해지 가운데 30%가량만 벌채한 뒤 나무를 새로 심는 인공 조림으로 산림을 복원하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무차별적으로 베어내는 게 아니라 도로나 민가가 가까워 산사태 위험이 있거나 자연적 회복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할 때 인공으로 조림한다는 겁니다.

[산림청 관계자 : 천편일률적으로 저희가 다 개입해서 벨 수도 없고 그거에 예산을 다 지원한다고 그러면 정말 천문학적인 돈이
들어갈 거거든요.]

자연 회복이 가능한 지역에선 인공 조림을 하면 안 된다는 환경단체의 목소리가 커지는 만큼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해 조림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정규원/산림기술사 (농학박사) : (산림청이) 정상적으로 계획하고 작업도를 낸다든지 하면 당연히 그건 안전하다고 볼 수 있는데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반대론자들이 많아지는 거거든요.]

산림청은 산지 소유자를 비롯해 이해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한 뒤 올해까지 경북 산불 피해 지역에 대한 산림 복구 기본 계획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7364 군필 한국인들과 서바이벌 게임을 한 폴란드인들의 최후 최고관리자 09.12 42
27363 세상에서 제일 소중한 금 최고관리자 09.12 41
27362 한국 남자는 마치 AV 처럼 ㅅㅅ를 해요 최고관리자 09.12 41
27361 쿠팡 왜 이러는 걸까요? 최고관리자 09.12 41
27360 핸드폰 뺏긴 12살 아들의 만행 ㄷㄷㄷ 최고관리자 09.12 39
27359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540년전에 발명한 자립형 다리 최고관리자 09.12 43
27358 이번에 암살당한 미국 극우 논객 아이러니한 점 최고관리자 09.12 42
27357 레고로 보는 기계공학 최고관리자 09.12 42
27356 남들이 안 가는 길을 묵묵히 가는 라면회사 최고관리자 09.12 43
27355 성심당이 내놓은 선넘은 텃밭에디션 최고관리자 09.12 44
27354 40대 女간호사, 병원서 몰래 빼낸 염화칼륨으로 아들 살해 최고관리자 09.12 45
27353 눈 오니까 좋다옹 최고관리자 09.12 38
27352 더 달라고 최고관리자 09.12 38
27351 물 마시냥 최고관리자 09.12 43
27350 가랑이 찢어진다옹 최고관리자 09.12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