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한국에 필요한 건…"돌봄의 가치 존중해야"

유머/이슈

지금 한국에 필요한 건…"돌봄의 가치 존중해야"

최고관리자 0 103 08.14 05:46

[앵커]
우리 사회에서 돌봄 문제는, 사회 구성원 전체가 함께 책임져야 할 문제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아이를 키우고 노인을 돌보는 일을 중요시하고, 또 지원하는 문화가 아직도 부족한 게 현실인데요.
어떤 변화가 필요한지 이혜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16년 차 직장인 손서연 씨는 직장 내 돌봄 제도를 두루 활용하며 일과 가정의 균형을 맞추고 있습니다.
서연 씨 회사는 지난해 가족친화 우수기업 표창을 받았습니다.
[손서연/가족친화 우수기업 근무 : 남자 직원들도 육아휴직을 잘 쓰는 편이고, 여자 직원 같은 경우에는 거의 100% 육아휴직을 다 쓸 정도로 (제도가 잘 돼 있어요.)]
임신 기간 외에도 가족 돌봄을 위한 시차출퇴근을 허용하고, 예비 초등학생 자녀를 둔 직원에겐 육아휴직 외 별도의 자녀 입학 돌봄 휴직 기간을 줍니다.
가족돌봄 휴직, 휴가에 더해 임종기 가족을 돌보는 가족간병 휴가도 마련돼 있습니다.
[손서연/가족친화 우수기업 근무 : 임종기가 다가왔을 때 가족들이 같이 시간을 보내고 싶다고 해서 휴가를 쓰는 것들을 봤고요.]
국내 가족친화인증 기업은 2008년 14곳에서 지난해 6천500곳으로 늘었습니다.
부득이 자녀를 데리고 출근했을 때 사용 가능한 사내 가족사무실 운영, 육아지원금과 육아도우미 지원 같은 돌봄 존중 문화가 눈에 띄는 기업들입니다.
[박재협/가족친화 우수기업 근무 : (육아휴직) 첫 달에 (회사가) 급여를 살짝 보전해 줘요. (나중에) 아이를 키울 때 그런 부분이 도움이 되겠다 (생각이 들었어요.)]
돌봄 노동의 존엄과 생산적 기여를 인정하는 움직임은 세계적인 추세입니다.
한국에서 처음 열린 APEC 여성경제회의에서도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돌봄의 강화가 중점적으로 논의됐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매일 164억 시간이 무급 돌봄 노동에 할애되고 있습니다.
비용으로 환산하면 연간 11조 달러, 1경 5천조가 넘습니다.
[발레리 프레이/OECD 선임경제학자 : 정책적으로 돌봄 노동이 마땅히 받아야 할 가치를 인정받는 급여 체계를 수립해야 합니다.]
여성에게 치우친 불균형한 돌봄 구조를 해체하고, AI와 같은 신기술을 활용해 '돌봄 경제'로 나아가려는 노력도 필요합니다.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5051 뭉치면 귀여움이 세 배.mp4 최고관리자 08.15 37
15050 남매의 대화 최고관리자 08.15 49
15049 '상어가족' 대법원 "표절 아냐" 최고관리자 08.15 55
15048 모기 물린 데 냉찜질 VS 온찜질, 뭐가 더 좋을까? 최고관리자 08.15 27
15047 우리나라 교통문화가 좋아지고 있는 통계 최고관리자 08.15 30
15046 ‘세상에서 제일 정신나간 새?‘, 뻐꾸기의 미친 생존 본능ㄷㄷ 최고관리자 08.15 36
15045 임진왜란 이 후 조선이 한 일. 최고관리자 08.15 35
15044 광복 80주년 맞아 비공개 자료 어벤져스 모은 국중박 근황 최고관리자 08.15 44
15043 억울하게 죽은 어느 처자 최고관리자 08.15 32
15042 누가 누텔라를 훔��는가? 최고관리자 08.15 49
15041 빡친 소들의 응징.mp4 최고관리자 08.15 40
15040 영국, '지나치게 마른' 모델 광고 "퇴출" 최고관리자 08.15 49
15039 서울 아산병원 vip 병동 내부.jpg 최고관리자 08.15 37
15038 야당 만나는걸 꺼려하는 트럼프 최고관리자 08.15 40
15037 축구에 소질있는 댕댕이 최고관리자 08.15 43
Category
반응형 구글광고 등
State
  • 현재 접속자 171 명
  • 오늘 방문자 869 명
  • 어제 방문자 1,027 명
  • 최대 방문자 2,535 명
  • 전체 방문자 194,942 명
  • 전체 게시물 44,479 개
  • 전체 댓글수 0 개
  • 전체 회원수 66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