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벌레 물려 심부전…"백신도 없다" '침묵의 살인자' 확산

유머/이슈

이 벌레 물려 심부전…"백신도 없다" '침묵의 살인자' 확산

최고관리자 0 24 09.08 17:55

벌레 물린 후 심부전…"백신도 없다" '침묵의 살인자' 확산에 미국 발칵
입력  


0d0bc762f9ad8378209485a20ab35a70_1757321701_0628.jpg



미국에 '샤가스병( Chagas   disease )'이 확산돼 비상이 걸렸다.

5일(현지시각) 로스앤젤레스타임스, 뉴욕포스트 등에 외신에 따르면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CDC )는 샤가스병이 최소 32개 주에서 발견됐다고 발표했다. 일부 과학자들은 이를 미국 내 토착 질환으로 공식 인정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현재 미국 내 감염자는 약 30만명으로 추산되며 최소 8명이 국내 전파로 감염된 것으로 보고됐다.

샤가스병은 크루즈트리파노소마 기생충 감염으로 원래 남미 시골 지역에서 주로 발발했다. 전파 매개체는 '키싱 버그( kissing   bug )'라고 불리는 흡혈노린재다. 이 곤충은 사람의 얼굴, 특히 입과 눈 주변을 물고, 그 과정에서 남긴 배설물이 상처나 점막을 통해 체내로 들어가 감염을 일으킨다. 장기 기증, 수혈, 임신 중 태아 전파도 가능하다.

미국에서는 11종의 키싱 버그가 발견됐으며 텍사스, 뉴멕시코, 애리조나에서 목격 사례가 많다.  CDC 와 텍사스 A&M대 연구팀에 따르면 미국 내 키싱 버그의 약 55%가 샤가스병 기생충을 보유하고 있다.

샤가스병은 급성기와 만성기로 나뉜다. 급성기에는 대부분 증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발열, 피로, 몸살, 눈꺼풀 부종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만성기에는 심장 부정맥, 심부전, 소화기 문제 등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감염 후 10~30년 뒤에도 나타날 수 있다.

치료는 급성기에만 항기생충제인 벤즈니다졸( benznidazole )과 니푸르티목스( nifurtimox )를 통해 가능하며 백신은 아직 없다. 만성기에는 증상 관리가 중심이 된다.

전문가들은 "샤가스병은 미국에서 '잊힌 열대병'이자 '침묵의 살인자'"라며 " CDC 와  WHO 가 공식적으로 토착 질환으로 인정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하 생략) 


ㅎㄷㄷㄷ 별 이상한 벌레가 다 있군요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5737 집에서 간단히 할수 있는 게임들 최고관리자 09.08 20
25736 미국에서 스팸 굽는 방법.jpg 최고관리자 09.08 16
25735 강릉 물부족사태 깔끔 정리 최고관리자 09.08 19
25734 먹이사슬의 순환 최고관리자 09.08 20
25733 동료가 안보이나? 최고관리자 09.08 20
25732 행복해서 티가나는 멍멍이들. 최고관리자 09.08 22
25731 요즘 동해쪽 횟집 분위기 최고관리자 09.08 23
25730 신라의 삼국통일을 폄하 하는게 우스운 이유.jpg 최고관리자 09.08 20
25729 [MV] 엄마의 노래 최고관리자 09.08 21
25728 문신한 아들 최고관리자 09.08 19
25727 좋아쓰!! 고양이 국내판 현장멍이 .manhwa 최고관리자 09.08 22
25726 좋아쓰!! 고양이 국내판 현장멍이 2.manhwa 최고관리자 09.08 19
25725 육아난이도 최상의 아기 최고관리자 09.08 24
25724 알리에서 각 부품을 따로 구입해 삼성폰을 조립하면 켜질까? 최고관리자 09.08 20
25723 눈물없인 볼 수 없는 성인용품 리뷰 최고관리자 09.08 19
Category
반응형 구글광고 등
State
  • 현재 접속자 141 명
  • 오늘 방문자 1,126 명
  • 어제 방문자 2,601 명
  • 최대 방문자 2,871 명
  • 전체 방문자 237,457 명
  • 전체 게시물 0 개
  • 전체 댓글수 0 개
  • 전체 회원수 74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