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 표적 된 ‘치매머니’…“독거 치매 환자 무방비”

유머/이슈

범죄 표적 된 ‘치매머니’…“독거 치매 환자 무방비”

최고관리자 0 38 08.18 01:57

사랑하는 사람을 잊어가는 아픔, 치매입니다. 치매가 찾아오고 인지 능력이 떨어지면 내 집도, 내 돈도 내 것인 줄을 모릅니다. 있어도 쓸 수 없는 돈 일명 '치매 머니'가 요즘 각종 분쟁의 시작이 되고 있습니다. 평생 아끼고 모은 돈이 남 좋은 일만 시킨다면 그보다 억울한 일이 있을까요. 실태와 대책 이규명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한 노인보호전문기관 대표인 오복경 관장, 치매에 걸린 뒤 전 재산을 잃은 정 씨 할아버지의 과거 흔적을 찾고 있습니다.
[전 이웃 주민 : "음식을 잘해주고 하니까 거기에 그냥 딱 반했나 봐. 그래서 (집을) 해줬다는 거지."]
[전 직장 동료 : "6천만 원인가 현찰로 갚아줬대, 빚을. 사기당한 것 같아."]
주변 사람들에게 가지고 있던 집과 금융자산 대부분을 빼앗긴 겁니다.
돌봐줄 가족도 없던 정 할아버지는 정부의 도움도 받을 수 없었습니다.
[오복경/충남 남부노인보호전문기관 관장 : "수급자가 아니셨기 때문에 공공 후견 사업이라고 하는 조건에 들어가지 못하셨던 거죠."]
어려운 사정을 알게 된 오 관장이 법정후견인으로 선임돼, 할아버지를 요양원으로 모시는 등 돕고 있습니다.
치매 등 인지 능력이 떨어지는 성인의 재산 보호 등을 위해 우리나라에도 2013년 성년후견제도가 도입됐습니다.
그러나 홀몸 노인들이 치매에 걸린 뒤 스스로 제도를 활용하기란 거의 불가능합니다.
[배광렬/사단법인 온율 공익변호사 : "우리나라의 복지 체계가 기본적으로 재산을 기준으로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중산층 이상의 고령자들은 다 사각지대에 있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치매가 와버리면 나밖에 없는데 내가 내 재산을 관리 못하고 내 몸을 건사하지 못 하니까."]
건강할 때 미리 후견인을 지정하는 임의 후견 제도가 있지만, 지금까지 개시된 사례는 백여 건뿐입니다.
복잡한 절차와 비용 때문입니다.
[배광렬/사단법인 온율 공익변호사 : "(임의 후견 계약) 공증하는 데 돈 내지. 법원에 청구하는 데 돈 냈지. 그랬더니 이제는 감독인을 선임하고 감독인한테도 돈을 줘야 한 대요. 이것을 누가 하겠어요?"]
우리보다 20년 일찍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일본.
지방자치단체마다 성년후견센터를 설치하고 치매에 대비해 누구나 쉽게 상담과 법적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보조금도 지급해 임의 후견도 적극 홍보하고 있습니다.
[코사나미 간오/도쿄 시나가와구 성년후견센터 소장 : "고령자는 임의 후견인을 선임할 때 계약 비용 문제가 매우 큰 과제예요. 진입 장벽을 낮추기 위해서 시나가와구가 보조금을 준비해 두고 있어요."]
그 결과 임의 후견 계약 건수가 10년 새 70% 넘게 증가했습니다.
[아라이 마코토/일본성년후견법학회 이사장 : "지금까지 일본의 임의 후견은 이용률이 굉장히 낮았어요. 하지만 최근 조금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어요. 그것도 큰 부자가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 서민이 이용하는 거죠."]
2050년 국내 '치매머니'는 500조 원에 이를 전망입니다.
하지만 성년후견 업무를 법원이 전담하면서, 가까운 지역사회에는 상담 창구조차 없는 게 우리 현실입니다.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0138 양주에 진심인 동네마트 최고관리자 08.27 20
20137 헬스장에서 레깅스의 위험성.mp4 최고관리자 08.27 17
20136 보이스피싱으로 8000만원 날린 만화 최고관리자 08.27 16
20135 분실 카드 최고관리자 08.27 18
20134 도파민 터진다는 아이돌 육상 결승전 .jpgif 최고관리자 08.27 26
20133 애들이 만든 케데헌 최고관리자 08.27 36
20132 10대 성매매 쉬멜 남 최고관리자 08.27 9
20131 안쓰면 잃는 생체 기관.jpg 최고관리자 08.27 13
20130 심각하다는 해변 비키니 몰카 최고관리자 08.27 17
20129 미 보건장관 "코로나백신 접종을 금지할 계획".jpg 최고관리자 08.27 15
20128 자기 예명을 히로뽕으로 짓게 된 추성훈 최고관리자 08.27 11
20127 요즘 미국에서 유행한다는 창문형 U자형 에어컨.MP4 최고관리자 08.27 11
20126 마약 정책 강화는 필요하지만‥'진통제만이 살길' CRPS 환자는? 최고관리자 08.27 16
20125 [단독] 신고했더니 "유명해지려고?"‥軍 대응도 무성의 최고관리자 08.27 24
20124 SNS 근황.jpg 최고관리자 08.27 25
Category
반응형 구글광고 등
State
  • 현재 접속자 84 명
  • 오늘 방문자 810 명
  • 어제 방문자 1,632 명
  • 최대 방문자 2,535 명
  • 전체 방문자 210,495 명
  • 전체 게시물 54,751 개
  • 전체 댓글수 0 개
  • 전체 회원수 69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