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독사 위험군’ 전국 17만 명 첫 확인…“체계적 관리 시급”

유머/이슈

‘고독사 위험군’ 전국 17만 명 첫 확인…“체계적 관리 시급”

최고관리자 0 54 09.16 07:35

[앵커]
고령층 1인가구가 급증하면서 고독사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올랐습니다.
정부 조사에서 전국 17만 명 이상이 고독사 위험군인 것으로 처음 확인됐습니다.
이번 조사에선 실제 고독사한 사례가 제외된 걸로 드러나 체계적인 관리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성수 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

[리포트]
제대로 풀지 않은 이삿짐이 집안 구석구석 어지럽게 널려 있습니다.
사업 실패 후 가족과 단절됐던 60대 남성이 지난해 이 오피스텔에서 혼자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이런 비극을 막기 위해 보건복지부가 지자체와 함께 고독사 위험군을 처음 조사했습니다.
소득이 있는지, 타인과 소통을 얼마나 하는지, 그리고 공과금 체납 여부 등 10가지를 물었습니다.
그 결과 전국에서 17만 명이 위험군으로 나타났습니다.
위험군으로 분류되면 지자체에서 주기적으로 안부를 확인하고 생활개선 지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지난 3월 서울 강남구 빌라에서 고독사한 50대 남성은 위험군에서 빠져 있었습니다.
직업도 없는데다 3~4개월치 공과금이 밀려 있었지만, 도움의 손길이 미치지 못했습니다.
[인근 주민/음성변조 : "지나가다 보면 그냥 못 본 척 지나가고 해서, 인사하거나 그러진 않거든요."]
고독사 위험군 조사가 기초생활수급자만을 대상으로 이뤄졌기 때문입니다.
지자체별 통계도 들쭉날쭉합니다.
인구가 대략 140만 명인 광주광역시는 위험군이 3만여 명이지만, 인구가 약 10배 많은 경기도는 만여 명에 불과했습니다.
여기에 성별, 연령별 분류도 안 돼 고독사 위험군에 대한 맞춤형 대책도 마련할 수 없습니다.
[서미화/국회 보건복지위원/더불어민주당 : "적극 행정을 통한 위험군 발굴을 해야 하고 복지부는 시스템 전산화로 대상자에 대한 개인별 맞춤형 지원을 해야 합니다."]
최근 5년 동안 연평균 5.6%씩 늘어 1년에 3천여 명이 고독사한 걸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0139 부산 국제 영화제 참석한 길예르모 델 토로 감독 근황 최고관리자 09.19 45
30138 어느 중학생의 간식 최고관리자 09.19 45
30137 흔한 중1의 간식상 최고관리자 09.19 41
30136 한층 더 늘어난 12가지 맛 나니가스키 최고관리자 09.19 42
30135 미국과 트럼프근황.jpg 최고관리자 09.19 45
30134 여자가 치마밑에 숨겨놓은것.mp4 최고관리자 09.19 41
30133 편안해요 최고관리자 09.19 36
30132 (혐주의) 집에 핀 곰팡이 인증 레전드 최고관리자 09.19 39
30131 직장 동료 경조사 불참했다고 승진 누락.jpg 최고관리자 09.19 41
30130 AI Dance.mp4 최고관리자 09.19 41
30129 진짜 예쁘게 생겼네 최고관리자 09.19 39
30128 호불호 갈리는 일본 라멘집 딸.jpg 최고관리자 09.19 42
30127 일본에서도 유명하다는 미인딸 라멘 가게.MP4 최고관리자 09.19 36
30126 노점상 싹 철거한 건대입구 근황.jpg 최고관리자 09.19 47
30125 강원도 원주 자유시장 떡볶이 투어하는 쯔양.JPG 최고관리자 09.19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