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광고) 'S대 출신 전문의'라 해서 신뢰했는데…AI로 만든 가짜였다

유머/이슈

(의학 광고) 'S대 출신 전문의'라 해서 신뢰했는데…AI로 만든 가짜였다

최고관리자 0 42 09.18 01:17

'S대 출신 전문의'라 해서 신뢰했는데…AI로 만든 가짜였다 (자막뉴스) / SBS


최근 유튜브나 인스타그램 등 SNS에 '의사'나 '약사'가 등장하는 의학 광고가 쉽게 보입니다.

의사로 보이는 인물이 소아 비만 치료법을 소개하는데, 이는 AI로 생성한 가상인물입니다.

[김명주 교수/서울여자대학교 지능정보보호학부: 전문의를 흉내 내는 AI 캐릭터를 만들어서 광고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이 있고 그냥 없던 인물을 만들어 내기도 해요.]

AI로 생성한 가상인물은 사용자가 적은 글을 이미지로 바꾼 것입니다.

원하는 느낌의 영상이나 이미지를 글로 작성하면 되니 생성 방법도 간단합니다.

[AI영상 : 모닝와이드 시청자 여러분 제가 만병 통치약을 소개해 드릴게요]

이렇게 단 몇 시간 만에 세상에 없던 인물을 창조해 낼 수 있습니다.

[박주현 대표 / 생성형 AI기업 'R'사 : 가상의 인물이 말하는 걸 만들어야 된다 하면 두세 시간 정도면 한 15초짜리 영상 충분히 만들 수 있다고 보면 됩니다.]

문제는 이들이 소개하는 제품에는 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것들이 많다는 점입니다.

[오인석 약사/대한약사회 학술 부회장: 전혀 효과가 없는 제품들입니다. 광고가 이야기하는 정도의 작용이 나타나는 건 있을 수 없죠.]

깔끔한 인상으로 단호하게 얘기하는 이들의 모습.

불확실한 효과에도 소비자는 쉽게 믿을 수밖에 없습니다.

광고 속 인물이 진짜인지 가짜인지 쉽게 구분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현행 의료법 제56조는 소비자를 기만할 우려가 있는 광고를 금지하고 있고, 또 식품표시 광고법에 따르면 의료인은 제품의 기능성을 보증하거나 제품을 추천·사용한다는 광고를 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AI 가상인물은 법적 사각지대에 놓여있어 이들이 등장하는 영상을 규제하기가 어려운 실정입니다.

[장형수 변호사 : 의료법, 약사법, 식품 표시 광고법이나 처벌 규정과 금지 규정들은 있어요. 있는데 제도들이 가진 한계들이 좀 있죠 사람이 아니잖아요 의사도 아니고 그러니까 이 규정을 적용할 수는 없는 거죠.]

내년 1월부터 시행 예정인 인공지능 기본법은 인공지능 사용 여부를 명시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마저도 완전한 해결책이 될 수 없어, 소비자는 광고내용을 스스로 검색해 확인 해야는 등 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김명주 교수: 큰 기업들은 따라가지만 작은 기업이나 개인이 하는 경우는 따라가지 않을 가능성이 대단히 큽니다 그래서 소비자가 조금 이제 발품을 팔아야 해요 그 광고에 있는 내용들을 검색을 해 봐야 되고요 의료인처럼 보이는데 밑에 의료인에 관한 정보가 없다 이건 일단 의심을 해봐야 합니다.]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9701 냉동 계란후라이의 비밀 최고관리자 09.18 39
29700 태권도 관장님의 실력 최고관리자 09.18 42
29699 누가 더 급한거임? 최고관리자 09.18 40
29698 김밥천국?! 최고관리자 09.18 37
29697 사랑스러운 알바생 최고관리자 09.18 41
29696 접수 도와드리겠습니다 최고관리자 09.18 38
29695 유치원 선생님 장기자랑 최고관리자 09.18 42
29694 드라마 '폭군의 셰프'가 대박 터진 이유 최고관리자 09.18 41
29693 외국인 관광객에게 인기라는 서울 명소 최고관리자 09.18 33
29692 크로스핏 1년 후 최고관리자 09.18 40
29691 서양 잼민이들의 복싱실력 최고관리자 09.18 38
29690 박정민 배우의 위트 최고관리자 09.18 43
29689 일본은 진짜 대단한 나라인것 같네요. 지하철에서 어떻게 이런일을 최고관리자 09.18 40
29688 키 작은 관장의 서러움 최고관리자 09.18 39
29687 돼지라 못할거라 생각하지 마라 최고관리자 09.18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