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에 '열대벼' 쑥쑥‥공급 과잉 돌파구 (2025.08.23/뉴스데스크/MBC)

유머/이슈

폭염에 '열대벼' 쑥쑥‥공급 과잉 돌파구 (2025.08.23/뉴스데스크/MBC)

최고관리자 0 23 08.23 20:45


폭염에 '열대벼' 쑥쑥‥공급 과잉 돌파구 (2025.08.23/뉴스데스크/MBC)



앵커

폭염이 지속되면 벼가 익는데 어려움이 생기고 쌀의 품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는데요.

기후 위기 시대에 적응하기 위한 시도로, 동남아에서 키우는 쌀알이 가늘고 긴 형태의 '열대벼'를 재배하는 농가가 등장했습니다.

서일영 기자가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전남 해남에 있는 친환경 벼 재배단지.

축구장 140개 크기에 달하는 이곳에서 눈에 띄는 벼가 자라고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먹는 찰지고 둥근 '자포니카 품종'이 아닌 길고 가는 낟알을 가진 '인디카 품종', 즉 열대벼입니다.

흔히 동남아에서 키우는 장립종 벼는 자랄 때는 이렇게 일반 벼보다 옆으로 두툼하게 자라지만 낟알은 2배 이상 얇고 길쭉한 게 특징입니다.

기후변화는 물론 늘어난 국내 외국인 수요에 대응하면서 가공밥 수출시장 진출까지 기대하고 있습니다.

[윤영식/땅끝황토친환경영농조합 대표]
"지금 이제 10여 개 정도의 품종을 계속 시험 재배하고 있고요. 그중에 2개 품종은 이제 상업화가 가능한 그런 시점에 이르렀습니다."

이같은 사업 확대에는 최근 일본의 쌀값 폭등 현상도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입니다.

밥쌀 공급 과잉에 대응해 1970년대부터 벼 재배 면적을 줄여온 일본.

하지만 2년 전 가을, 밤낮없이 이어진 기록적 폭염으로 벼가 여물지 못하면서 1등급 쌀 유통량이 20%가량 급감했습니다.

실제로 국내에서도 지난해 9월은 역대 가장 더웠습니다.

벼가 여물어야 할 시기에 밤낮없는 고온이 이어지면서 쌀 품질은 떨어졌고, 올해도 반복될 가능성이 큽니다.

기후변화가 가속화되면서, 남은 농지를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한 고민이 나날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MBC뉴스 서일영입니다.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0253 손으로 직접 뽑는 냉면 최고관리자 08.27 21
20252 양양에 무슨 서핑하러 가냐는 외국인 최고관리자 08.27 6
20251 치약의 역사.jpg 최고관리자 08.27 6
20250 한국 남자가 가장 심쿵하는 순간.jpg 최고관리자 08.27 27
20249 트럭이 두렵지 않았던 중국남 최고관리자 08.27 7
20248 충전기 플러그 이렇게 해도 화재 안 날라나? 최고관리자 08.27 24
20247 개처럼 짖는 일왕 AI 영상 최고관리자 08.27 29
20246 (펌) 민폐 캠퍼. 차박. 캠핑카. 최고관리자 08.27 27
20245 공을 끝까지 봐야 하는 이유 최고관리자 08.27 13
20244 합법적으로 부업하는 방법 최고관리자 08.27 21
20243 서로의 초상화를 그려준 유쾌한 부부 최고관리자 08.27 34
20242 암벽 등반 조기교육 중? 최고관리자 08.27 16
20241 남자가 가슴 만지면 진짜 커지나요? 최고관리자 08.27 6
20240 결혼 후 퇴사한 아내 때문에 이혼이 간절한 남편 최고관리자 08.27 5
20239 못 박는 대단한 기술 최고관리자 08.27 14
Category
반응형 구글광고 등
State
  • 현재 접속자 76 명
  • 오늘 방문자 749 명
  • 어제 방문자 1,632 명
  • 최대 방문자 2,535 명
  • 전체 방문자 210,434 명
  • 전체 게시물 54,721 개
  • 전체 댓글수 0 개
  • 전체 회원수 69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