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에 쫓겨, 질병에 지쳐... 매일 노인 10명씩 자살

유머/이슈

가난에 쫓겨, 질병에 지쳐... 매일 노인 10명씩 자살

최고관리자 0 40 08.04 13:22



65세 이상 9명 중 1명 극빈 상태
5년간 자해 사망 1만 8044명 달해

 

65세 이상 인구 9명 중 1명이 극빈 상태에 놓여 있고, 하루 평균 10명이 넘는 노인이 스스로 생을 마감하고 있다. 고령 인구가 빠르게 늘면서 빈곤 노인의 절대 규모도 커지고 있어, 생계 보장과 정서적 돌봄을 아우르는 종합 대응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3일 발표한 ''2024년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기초생활보장급여 수급자는 267만 3485명이며, 이 중 65세 이상 고령층은 42.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노인 수급자 비중은 2020년 35.4%, 2021년 37.6%, 2022년 39.7%, 2023년 41.3%에 이어 지난해 42.8%까지 상승해, 5년간 7.4%포인트 증가했다.

노인 인구 대비 수급률도 전체 평균보다 높다. 지난해 전체 인구 대비 수급률은 5.0%였지만, 65세 이상에서는 10.7%로 두 배를 넘었고, 특히 여성 노인은 12.1%로 남성 노인(9.0%)보다 더 높았다.

 

빈곤과 함께 자살 문제도 고령층에서 두드러진다.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2019~2023년 5년간 자해로 숨진 65세 이상 노인은 1만 8044명이다. 2023년 한 해에만 3838명이 스스로 생을 등졌다. 하루 평균 10.5명에 이른다. 같은 해 노인 자살률(인구 10만 명당 기준)은 40.6명으로, 15~64세(28.0명)보다 45%나 높았다.


전문가들은 노인 자살을 단순한 정신건강 문제로 보기 어렵다고 진단한다. 경제적 어려움, 만성질환, 관계 단절, 사회적 고립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는 분석이다.

한국의 노인빈곤율은 40.4%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으며, 특히 75세 이상은 61.3%로, 65~74세(30.8%)의 두 배에 가깝다.

 

오대종 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 박사는 "노년기 자살은 무기력감, 무쾌감, 신체 질환, 경제적 부담이 누적된 결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며 "자살 고위험군을 조기에 찾아내고 적절한 개입으로 연결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현정 기자

 

https://www.seoul.co.kr/news/society/2025/08/04/20250804010007




ㅠㅠ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0239 유기견 구해주기 최고관리자 08.04 31
10238 나 뒤에 있다옹 최고관리자 08.04 31
10237 배불러서 참는다 최고관리자 08.04 40
10236 늑대에겐 없고 개에겐 있는 근육.jpg 최고관리자 08.04 37
10235 가사가 세계의 나라 이름으로 돤 노래 최고관리자 08.04 37
10234 인도 에어비엔비에서 쓰레기 버리는 방법 최고관리자 08.04 31
10233 롤하면서 치킨 튀겨먹는 자취생 최고관리자 08.04 28
10232 모든 현장 중지한다던' 포스코이앤씨, 작업 재개 첫 날 감전사고 최고관리자 08.04 32
10231 장애인 등급 나누는 기준 최고관리자 08.04 28
10230 한국사 꿀팁 알려주는 유병재 인스타.jpg 최고관리자 08.04 32
10229 전설적인 레전드급 탈영 사유. 최고관리자 08.04 32
10228 오픈AI 연구원 : 세계가 바뀌는 시점은 2035-45년 최고관리자 08.04 35
10227 애견유치원에서 개를 잃어버림.jpg 최고관리자 08.04 35
10226 모두가 할 말 잃은 전설의 294도 탄수육 최고관리자 08.04 44
10225 후방주의 최고관리자 08.04 32
Category
반응형 구글광고 등
State
  • 현재 접속자 118 명
  • 오늘 방문자 793 명
  • 어제 방문자 960 명
  • 최대 방문자 2,535 명
  • 전체 방문자 184,814 명
  • 전체 게시물 34,146 개
  • 전체 댓글수 0 개
  • 전체 회원수 51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