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벌레 물려 심부전…"백신도 없다" '침묵의 살인자' 확산

유머/이슈

이 벌레 물려 심부전…"백신도 없다" '침묵의 살인자' 확산

최고관리자 0 18 09.08 17:55

벌레 물린 후 심부전…"백신도 없다" '침묵의 살인자' 확산에 미국 발칵
입력  


0d0bc762f9ad8378209485a20ab35a70_1757321701_0628.jpg



미국에 '샤가스병( Chagas   disease )'이 확산돼 비상이 걸렸다.

5일(현지시각) 로스앤젤레스타임스, 뉴욕포스트 등에 외신에 따르면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CDC )는 샤가스병이 최소 32개 주에서 발견됐다고 발표했다. 일부 과학자들은 이를 미국 내 토착 질환으로 공식 인정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현재 미국 내 감염자는 약 30만명으로 추산되며 최소 8명이 국내 전파로 감염된 것으로 보고됐다.

샤가스병은 크루즈트리파노소마 기생충 감염으로 원래 남미 시골 지역에서 주로 발발했다. 전파 매개체는 '키싱 버그( kissing   bug )'라고 불리는 흡혈노린재다. 이 곤충은 사람의 얼굴, 특히 입과 눈 주변을 물고, 그 과정에서 남긴 배설물이 상처나 점막을 통해 체내로 들어가 감염을 일으킨다. 장기 기증, 수혈, 임신 중 태아 전파도 가능하다.

미국에서는 11종의 키싱 버그가 발견됐으며 텍사스, 뉴멕시코, 애리조나에서 목격 사례가 많다.  CDC 와 텍사스 A&M대 연구팀에 따르면 미국 내 키싱 버그의 약 55%가 샤가스병 기생충을 보유하고 있다.

샤가스병은 급성기와 만성기로 나뉜다. 급성기에는 대부분 증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발열, 피로, 몸살, 눈꺼풀 부종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만성기에는 심장 부정맥, 심부전, 소화기 문제 등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감염 후 10~30년 뒤에도 나타날 수 있다.

치료는 급성기에만 항기생충제인 벤즈니다졸( benznidazole )과 니푸르티목스( nifurtimox )를 통해 가능하며 백신은 아직 없다. 만성기에는 증상 관리가 중심이 된다.

전문가들은 "샤가스병은 미국에서 '잊힌 열대병'이자 '침묵의 살인자'"라며 " CDC 와  WHO 가 공식적으로 토착 질환으로 인정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하 생략) 


ㅎㄷㄷㄷ 별 이상한 벌레가 다 있군요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5813 말과 함께 자란 소! 최고관리자 09.09 10
25812 발톱 자르는 고슴도치! 최고관리자 09.09 14
25811 스파이더냥! 최고관리자 09.09 12
25810 30대 중반 모은 돈 3200만원 최고관리자 09.09 9
25809 말다툼 끝에...15년간 키워준 양어머니 살해한 중학생에 실형 최고관리자 09.09 11
25808 중년부터 잘 막히는 혈관... 관리에 좋은 음식들 최고관리자 09.09 10
25807 모두가 납득 가능한 리얼 영포티 최고관리자 09.08 11
25806 우체국도 AI 도입 최고관리자 09.08 11
25805 직원도 거르는 프로그램 최고관리자 09.08 11
25804 기차가 지연되고 배 놓친 스트리머가 만난 인연 최고관리자 09.08 12
25803 오늘 무기징역 구형당한 '목사' 김녹완의 범행 최고관리자 09.08 9
25802 담임쌤과 결혼했습니다 최고관리자 09.08 12
25801 요즘 중국 남자들이 연애 결혼 안하는 이유 최고관리자 09.08 10
25800 레알 귀엽게 생긴 아기 허스키 최고관리자 09.08 10
25799 폰트의 중요성 최고관리자 09.08 10
Category
반응형 구글광고 등
State
  • 현재 접속자 138 명
  • 오늘 방문자 2,263 명
  • 어제 방문자 2,185 명
  • 최대 방문자 2,871 명
  • 전체 방문자 235,993 명
  • 전체 게시물 0 개
  • 전체 댓글수 0 개
  • 전체 회원수 74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