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고수온에 갈치 어획량 '반토막'...급변하는 '어장 지도'

유머/이슈

(제주) 고수온에 갈치 어획량 '반토막'...급변하는 '어장 지도'

최고관리자 0 39 08.24 01:01

[자막뉴스] 고수온에 갈치 어획량 '반토막'...급변하는 '어장 지도' / YTN


여름철 제주 바다에서 주로 잡히는 갈치 어획량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습니다.

지난해 연안복합어선 갈치 어획량은 약 4천 톤으로 지난 2006년에 비해 절반 이상 급감했습니다.

어획량 감소가 수온 상승과 관련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갈치가 주로 잡히는 수심 20미터 바다 수온 변화에 따른 갈치 어장 분포 현황을 조사했더니,

수온이 21도 내외로 유지되던 2017년, 제주 연안에 갈치 어장이 뚜렷하게 형성됐습니다.

반면, 30도에 육박하는 고수온이 유입된 지난해에는 갈치가 북동쪽으로 이동하면서 어장이 분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조업 철인 8월 수온이 27도 이상을 기록한 2016년과 2023년에도 비슷한 현상이 관측됐습니다.

수온 같은 환경 요인이 제주 주요 어종의 어획량과 어장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한 건 정부 조사에서 이번이 처음입니다.

[유준택 / 국립수산과학원 해양수산연구관 : 최근 10년간 갈치가 주로 잡히는 8월, 그리고 주로 어획되는 바다 층에서 수온과의 관계를 비교했고, 그 결과 제주 남동쪽에서 27도 이상의 따뜻한 물 덩어리가 들어올수록 어장이 분산되면서 어획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바다 고수온 현상으로 제주 토종 소라의 서식지가 경북 울진 해상까지 확장하고 제주에 남은 소라의 면역력이 크게 떨어졌다는 연구 결과도 있었습니다.

해양수산부는 내년부터 제주 연안 60㎞ 이내 해양 생물과 수심별 수온 염분 등에 대한 정밀 조사를 진행해 어장 변화 추세를 분석할 예정입니다.

김용원입니다.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0348 역기 들다 원판이 깨짐..mp4 최고관리자 08.27 8
20347 싸이클 선수 허벅지 최고관리자 08.27 18
20346 "대기업 사칭 자재비 가로채"...신종사기 대책 필요 / YTN 최고관리자 08.27 14
20345 같이 밥 먹기 싫은 부류의 사람 최고관리자 08.27 14
20344 의사의 팩폭 최고관리자 08.27 22
20343 취업사기 당한 대학생 최고관리자 08.27 12
20342 술을 마시면 안되는 이유 최고관리자 08.27 12
20341 거제도 흉기난동 시도 체포 최고관리자 08.27 18
20340 은근히 갈린다는 순대 소스 취향 최고관리자 08.27 13
20339 다이소에서 절대 사면 안되는 물건 1위 최고관리자 08.27 15
20338 모솔연프 명장면을 마주했을 때 찐반응 .jpgif 최고관리자 08.27 15
20337 현재 Ai가 예측한 국내야구 팀별 최종 순위 최고관리자 08.27 9
20336 머리 자르고 왔을때 엄마 반응 특 최고관리자 08.27 16
20335 일본여자와 국제결혼 후 두달동안 느낀점.jpg 최고관리자 08.27 16
20334 슬픈 배달음식 증후군 최고관리자 08.27 8
Category
반응형 구글광고 등
State
  • 현재 접속자 190 명
  • 오늘 방문자 824 명
  • 어제 방문자 1,632 명
  • 최대 방문자 2,535 명
  • 전체 방문자 210,509 명
  • 전체 게시물 54,761 개
  • 전체 댓글수 0 개
  • 전체 회원수 69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