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화하라고 보낸 교도소에서 인권침해 소송 잇따라…배상은 세금으로

유머/이슈

교화하라고 보낸 교도소에서 인권침해 소송 잇따라…배상은 세금으로

최고관리자 0 4 09.13 20:29

범죄를 저질러 교도소에 수감 중인 재소자들이 인권 침해를 주장하며 국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최근 1년 사이 국가가 배상한 금액은 약 4천만 원에 달했습니다.
[김의태 / 변호사 : 2023년에 판례가 처음으로 나왔으니까 이후 1년 만에 4천만 원 정도가 지급이 된 겁니다. 이런 사례가 증가할 수도 있겠죠.]
수감자들은 과밀 수용으로 인한 심리적 압박과 불안 등 정신적 피해를 호소하고 있습니다.
[김의태 / 변호사 : 결국은 개인이 '잠을 잘 때 사용할 수 있는 면적이 어느 정도가 되었나'였어요. 매트리스를 통해서 면적을 비교해 보면 괜찮은데요. 더블매트리스가 2.8m² 정도 됩니다. 더블 매트리스의 절반이면 1.4m²죠.]
법원은 좁은 수용 공간을 인권 침해로 판단해, 제소자 A 씨에게 150만 원, B 씨에게 300만 원을 배상하라고 판결했습니다.
그러나 이 같은 판결에 대한 비판도 나옵니다.
한 전문가는 법원의 판결이 잘못됨을 지적합니다.
[허민숙 입법조사관 / 국회 입법조사처 : (1심 판결문은) '지금 훨씬 더 열악한 환경에서 지내고 있는 국민도 많은데 그 정도로 불평하는 것은 옳지 않다' 교도소 과밀화로 국가에 배상을 요구하는 것은 정당하지 않다는 것이 1심의 요지였어요.]
실제로 일반 수감자보다 흉악범들이 오히려 더 나은 환경에서 생활하는 아이러니한 상황도 발생했습니다.
[김안식 교수/ 백석대학교 교정 보안학과 : 교도소는 S1부터 S4로 구분이 돼 있어요. S4는 흉악범이 가는 곳입니다. 청송에 그런 교도소가 있습니다. 그런 곳은 과밀 수용이 안 되죠. 교정 사고나 난동이 일어나거나 도주, 폭행 같은 사건이 일어나면 안 되잖아요.]
문제는 교도소 증축이 지역 반대로 번번이 무산된다는 점입니다.
[김안식 교수/ 백석대학교 교정 보안학과 : 거창구치소가 2년 전에 개청이 됐는데요. 원래는 2011년 추진위원회가 발족이 돼서 건축하려고 했어요. 그런데 주민들이 반대가 많아서 중단됐었어요.]
또한 교도소를 새로 짓더라도 예산과 시간이 턱없이 부족합니다.
[김안식 교수/ 백석대학교 교정 보안학과 : 형집행법에 보면 새로 신축하는 교정시설은 수용 인원 500명 미만으로 건축하게 되어있습니다. 그런 작은 시설도 1,000억 원 이상이 소요가 됩니다.]
올해 8월 기준 정원을 초과한 수감자는 1만 4천 명에 달하는데, 이를 모두 수용하려면 교도소 28곳과 2조 8천억 원이 필요하다는 계산이 나왔습니다.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8010 미국에서 난리난 폭스채널 뉴스쇼 진행자 발언 ㄷㄷ.jpg 최고관리자 09:42 2
28009 라이온킹 최고관리자 09:36 2
28008 아빠 직업이 부끄러운 학생 최고관리자 09:34 1
28007 손상된 DNA 복구과정 최고관리자 09:33 1
28006 4천년 전 수메르인들이 남긴 기록 최고관리자 09:28 2
28005 생각보다 날먹이라는 한국 자격증ㅋㅋㅋ 최고관리자 09:23 1
28004 넥슨에게 시위하는 페미 최고관리자 09:21 3
28003 프랑스 경제가 박살난 게 복지때문이 아닌 이유 최고관리자 09:19 2
28002 추석명절 호불호 음식 두가지.jpg 최고관리자 09:12 1
28001 '에일리♥최시훈' 결혼 5개월 만에 파국 최고관리자 09:12 2
28000 뭐하는 곳인지 궁금한곳 최고관리자 09:11 2
27999 아프리카에서....... 최고관리자 09:09 3
27998 브라질 수달 최고관리자 09:09 1
27997 아버지와 아이들 최고관리자 09:08 2
27996 악어에게 먹이 주기 최고관리자 09:0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