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피해 예상"...제주도에 정착한 '외래 해충' 확산 위기

유머/이슈

"큰 피해 예상"...제주도에 정착한 '외래 해충' 확산 위기

최고관리자 0 5 09.07 01:05

[자막뉴스] "큰 피해 예상"...제주도에 정착한 '외래 해충' 확산 위기 / YTN


수많은 식물이 살아가는 제주 곶자왈.

이곳에 아열대 식물 '빌레나무'가 자라고 있습니다.

지난 2003년 처음 발견된 뒤 20년 넘게 제주에 터를 잡았습니다.

추위에 약한 '빌레나무'가 이처럼 제주에서 살아갈 수 있는 이유는 기후 변화에 따른 기온 상승으로 생육 조건이 갖춰졌기 때문입니다.

제주에서는 지난 2011년 이후 10여 종의 신종과 60여 종의 미기록 식물이 확인됐습니다.

그중에는 자원화가 가능한 종도 있지만, 토종 식물에 위해가 되는 종들도 있습니다.

[임은영 / 산림청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박사 : (제주는) 기후 변화를 가장 극심하게 겪을 수 있는 곳임과 동시에 열대·아열대 지역에서 유입될 수 있는 식물들이 내륙으로 가는 길목에 있으면서 그러한 식물들이 정착할 수 있는 지역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아열대성 곤충 발견도 매년 늘고 있습니다.

지난해 한반도 남부에서 발견된 미기록종 후보 38종 중 21종이 제주에서 처음 확인됐습니다.

'노랑알락하늘소'의 경우 지난 2019년 제주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완전히 정착했는데 팽나무에 피해를 주고 있습니다.

남해안도 서식에 적합한 곳으로 꼽혀 확산하면 큰 피해가 예상됩니다.

[이선근 / 산림청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박사 : 남부 지역에 충분히 정착할 수 있다는 그런 연구 결과를 도출했고요. 위험성 평가에서 노랑 알락하늘소는 굉장히 위험성이 높은 걸로 나왔기 때문에 많은 피해를 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기후 변화로 인한 아열대 생물 유입은 앞으로도 이어질 전망입니다.

전문가들은 외래 생물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은 물론 아열대 현지에서 병해충 생태를 연구해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YTN 고재형입니다.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5361 빨려 들어간다냥! 최고관리자 00:13 2
25360 공포영화를 보다 겁먹은 댕댕이 최고관리자 00:10 2
25359 박은빈 골든 최고관리자 00:06 2
25358 혈당 스파이크 부르는, 아침 식사로 안 좋은 음식들 최고관리자 00:01 2
25357 볶음밥의 진화 최고관리자 09.07 2
25356 뭐가 있냥 최고관리자 09.07 2
25355 조세호가 할부를 하는 이유 최고관리자 09.07 2
25354 철학자 담당일진 디오게네스 / 소크라테스가 죽은 이유 최고관리자 09.07 2
25353 웬만하면 아침에 서브웨이 비추 전날 구워둔 빵일 확률 80% 최고관리자 09.07 2
25352 시작 4분만에 빌런 서사 이해시킨 영화 .jpg 최고관리자 09.07 2
25351 외국에서 보는 성웅 이순신 장군님 기록 최고관리자 09.07 2
25350 테무산 워터밤 권은비 최고관리자 09.07 2
25349 코딱디밀당 최고관리자 09.07 2
25348 순간 큰 ㄸ 싸서 놀란 딸래미 최고관리자 09.07 1
25347 약국 이름이 엄청 특이하네. 최고관리자 09.07 1
Category
반응형 구글광고 등
State
  • 현재 접속자 201 명
  • 오늘 방문자 997 명
  • 어제 방문자 2,871 명
  • 최대 방문자 2,871 명
  • 전체 방문자 228,886 명
  • 전체 게시물 63,920 개
  • 전체 댓글수 0 개
  • 전체 회원수 73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