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카 ETF 베이커리 이슈에 대한 동종업계 근로자의 생각

유머/이슈

슈카 ETF 베이커리 이슈에 대한 동종업계 근로자의 생각

최고관리자 0 2 09:17



ETF 베이커리의 “빵값 거품론”은 실현 가능한 대안이 아닌 

마케팅적 이벤트였으며, 기업 성장 전략과 연결된 의도적 이슈화로 보는 것이 타당함.


계속 물어 뜯으면 판매가 산정시에   마케팅 비용을 고려했다고 이야기 할 것임. 이 경우 본인들의 주장과 상충됨

그럼 왜? 이렇게 마케팅 비용 지출할 필요가 있었을까?  


슈카는 한국 1등 경제관련 유튜버 이고 글로우 서울의 대표는 백종원과 비슷한 포지션으로 방송에 꾸준히  출연하고 있는 사람이며 

글로우 서울은 내년에 I PO가 계획되어 있습니다.   


ETF 베이커리 팝업 사건 요약

슈카월드가 기획한 ETF 베이커리 팝업은 “빵값 거품론”을 내세우며 초저가 빵(990원 등)을 판매해 큰 화제를 모음 .

실제 구조: 제품은 글로우서울이 공급. 수익성은 고려되지 않았고, 주장했던 구조 변경을 통한 박리다매 모델 불가능.

성심당과 비교: 성심당은 대규모 생산·직영 판매로 저가 판매가 가능한 반면, ETF 베이커리는 한시적 팝업이라 지속 불가.

글로우서울 맥락: 외식 컨설팅에서 제빵업으로 확장, 스탠다드 브레드 운영, 방송 노출, IPO 준비 중. 팝업은 사실상 홍보·이슈화 전략 성격.



ETF 베이커리 팝업 사건 정리

1. 사건 개요

2025년 8월, 유튜버 슈카월드가 기획한 ETF 베이커리 팝업스토어가 서울 성수동에서 운영되며 큰 화제를 모았다. 팝업스토어는 “한국 빵값은 거품이며 충분히 낮출 수 있다”는 기조 아래, 소금빵·베이글·바게트 등을 990원, 식빵을 1,990원 등 시중가 대비 절반 이하 가격으로 판매하였다. 이는 소비자에게 큰 반향을 일으켰으나, 동시에 제빵업계와 자영업자들 사이에서는 현실성이 결여된 실험이라는 비판을 낳았다.

2. 구조적 문제

ETF 베이커리에서 판매된 제품은 유튜버 슈카가 직접 생산한 것이 아니라, **글로우서울(Glowe Seoul)**이라는 업체가 공급한 것이다. 글로우서울은 원재료 직송, 빵 모양 단순화, 포장 간소화 등으로 원가 절감을 시도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팝업 한정 구조에 불과하다.

일반 베이커리: 원가 + 비율 마진 구조 → 현실적인 가격 책정

ETF 베이커리: 원가 + 고정 마진액 구조 → 저가 책정 가능하나 지속 불가

즉, “박리다매” 전략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구조였다. 특히 글로우서울은 ETF 베이커리에 납품하는 공급자일 뿐, 성심당처럼 대규모 생산시설과 직영 판매망을 갖춘 자영업 모델이 아니기에 장기적으로 저가 판매를 유지할 수 없다.

3. 성심당 사례와의 비교

많은 대중이 “성심당도 저가·박리다매로 성공했다”는 의견을 내놓았으나 이는 구조적으로 다르다. 성심당은 400여 명의 생산직원과 대전 본점 인근의 대규모 공장을 기반으로 직영 매장에 대량 공급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개별 마진이 낮더라도 대량 판매로 수익성을 유지할 수 있다. 반면, ETF 베이커리는 외부 공급을 받아 한시적으로 운영하는 팝업이므로 이 같은 경제적 논리를 적용하기 어렵다.

4. 글로우서울의 전략적 맥락

이 사건을 더욱 의심케 하는 정황은 글로우서울의 행보다. 본래 외식 컨설팅 업체였던 글로우서울은 최근 제빵업계로 확장해 **스탠다드 브레드(Standard Bread)**라는 베이커리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다. 해당 회사의 대표는 방송 프로그램 **<동네멋집>**에 장기간 출연해왔으며, 오는 10월 제빵 특집 방영을 준비 중이다. 여기에 내년 IPO 추진 계획까지 맞물리며, ETF 베이커리 팝업은 단순한 사회적 실험이 아닌 브랜드 홍보 및 기업 가치 제고를 위한 전략적 이벤트라는 해석이 설득력을 얻는다.

5. 결론

ETF 베이커리 팝업은 겉으로는 “빵값 거품론”을 실험적으로 증명하려는 시도로 보였으나, 실제로는 경제적 타당성이 결여된 가격 책정이었으며, 수익 모델과 무관한 마케팅적 이벤트에 가까웠다. 소비자 관심과 언론의 주목을 끌어내는 데는 성공했지만, 현실적 대안 제시와는 거리가 있었다. 오히려 글로우서울의 제빵업 확장, 방송 노출, IPO 준비와 맞물려 이슈화를 통한 기업 홍보 전략이라는 본질이 드러난다.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2597 독거남 가장 기쁜 순간 최고관리자 12:38 2
22596 역시 카우보이의 나라답네요 최고관리자 12:36 2
22595 장기백수가 되어가는 과정.jpg 최고관리자 12:36 2
22594 인종별 체취 순위 최고관리자 12:34 1
22593 오뚜기 진라면 약간매운맛 근황 최고관리자 12:34 1
22592 타일 구배상태 평탄작업 확인하는 방법 최고관리자 12:33 1
22591 지금은 많은 사람들에게 잊혀진 음식 최고관리자 12:33 1
22590 우리가 돈을 못 모으는 이유 최고관리자 12:27 7
22589 스프라이트 챌린지 (소리) 최고관리자 12:27 1
22588 돌아버린 일본 기온 근황 ㅎㄷㄷ 최고관리자 12:22 1
22587 쓰레기 무단 투기한 드라마 촬영팀.jpg 최고관리자 12:18 3
22586 남자로 성전환 한 여성의 후회.jpg 최고관리자 12:14 4
22585 다이어트할때 먹어도 되는 음식 리스트 최고관리자 12:13 1
22584 '수지 결혼설' 확산‥"합의·선처 없다" 최고관리자 12:08 5
22583 피싱 범죄 대대적 단속‥신고보상금 5억 원 최고관리자 12:05 1
Category
반응형 구글광고 등
State
  • 현재 접속자 164 명
  • 오늘 방문자 1,494 명
  • 어제 방문자 1,962 명
  • 최대 방문자 2,535 명
  • 전체 방문자 214,793 명
  • 전체 게시물 57,331 개
  • 전체 댓글수 0 개
  • 전체 회원수 71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