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학교 이후 갈 데 없어요"…"복지관 3~4년씩 대기"

유머/이슈

"특수학교 이후 갈 데 없어요"…"복지관 3~4년씩 대기"

최고관리자 0 23 09.25 05:06

〈앵커〉
집 근처에 학교가 없어서 멀리 다녀야만 하는 장애 학생들의 현실에 대해 여러 차례 전해드렸습니다. 그런데 어렵게 학교를 졸업한 뒤에는 더욱 갈 곳이 없어 막막하다고 하는데요.
'시선 360', 오늘은 장애를 가진 학생과 그 가족들을 위해 어떤 노력이 더 필요한지 이혜미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기자〉
경기 양주에서 매일 휠체어를 타고 서울 노원구 특수학교로 통학하는 뇌병변 장애인 서윤 양 가족을 두 달 만에 다시 만났습니다.
졸업을 앞둔 지금, 또 다른 고민이 생겼다고 합니다.
[박정환/박서윤 양 아버지 : (집 근처에) 장애인 복지관이 한 군데 있어요. 예약을 걸어놓기는 했지만 보통 3년에서 4년 정도 기다려야 된다고 하더라고요.]
학교를 졸업하고 갈 곳이 없으면 돌봄은 24시간 가족들의 몫이 됩니다.
딸의 재활과 치료는 어찌할지, 딸이 학교에 있는 동안 해온 일은 계속할 수 있을지 부모는 막막함을 호소합니다.
[박정환/박서윤 양 아버지 : (부모) 둘이서 해결을 해야 되는 거죠. 경제활동을 못 해 지금 이 순간에도 그래서 죽어가는 사람들이 분명히 있을 거예요.]
서윤 양처럼 혼자 일상생활이 힘든 뇌병변 장애인을 위한 기관이 있지만, 이런 기관은 현재 서울에만 단 3곳이 있습니다.
사회복지사와 특수교사, 간호사 등 전문 인력의 돌봄과 교육, 의료 서비스가 제공되지만, 전국 성인 뇌병변장애인 22만 4천여 명의 단 0.02%만 이용할 수 있는 겁니다.
대기자가 많다 보니 이용자로 선정돼도 최장 5년까지만 다닐 수 있습니다.
[서아진/뇌병변장애인 전용 기관 이용자 보호자 : (학교 졸업 후) 갈 데가 한 군데도 없었어요. 그래서 1년 6개월을 거의 집에서 저랑 있었고. 이 센터를 나오는 게 밖으로 나오는 유일한 통로라고 생각해요.]
집 안에 고립되기 쉬운 중증 장애인들에게는 바깥 활동이 세상과의 유일한 소통 창구입니다.
[(기분 좋으세요?) 네!]
[유정경/노원뇌병변장애인비전센터장 (사회복지법인 엔젤스헤이븐) : 내가 살아가는 지역사회 안에서 다양한 활동을 해야 그 안에서 자신의 역할이 생기고, 의미 있는 삶을 살 수가 있기 때문에.]
이들이 사회와 단절되지 않도록, 또 가족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안정적인 돌봄 지원 시설과 인력 보강이 필요합니다.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2625 역겨워요 '영포티'...2030 거센 반감.jpg 최고관리자 09.25 22
32624 배민 급발진 사장 레전드.jpg 최고관리자 09.25 23
32623 현시점 한국 가성비 과일 1티어.jpg 최고관리자 09.25 19
32622 모쏠 여자친구랑 사귀는 중인데 관계가 너무 하고싶다.jpg 최고관리자 09.25 20
32621 명함 만들어달라고 했다가 한소리 들은 ㅈ소인.jpg 최고관리자 09.25 21
32620 화장실 칸으로 '액션캠' 쑥…회사서 '불법 촬영'한 40대 남성.jpg 최고관리자 09.25 21
32619 '탈탈' 털려버린 대한민국…"이걸 8년 동안 몰랐어요?" 최고관리자 09.25 21
열람중 "특수학교 이후 갈 데 없어요"…"복지관 3~4년씩 대기" 최고관리자 09.25 24
32617 소에 파리 덜 붙게 하려면? 얼룩 소로 만들면 돼 (현장영상) 최고관리자 09.25 25
32616 흉기 들고 도로 위 '떡하니'…"건드리지 마!" 일촉즉발 최고관리자 09.25 20
32615 47세 연하와 재혼해서 과거 화제 됐었던 오라클 CEO 최고관리자 09.25 22
32614 치과에서 유일하게 내편인 기계 최고관리자 09.25 20
32613 우즈베키스탄의 절망적인 지정학적 위치 (펌) 최고관리자 09.25 24
32612 무대 보면서 울었다는 반응 많은 어제 첫방한 오디션 무대 (19세 제주 소녀가 부르는 임재범 '너를 위해') 최고관리자 09.25 20
32611 여자친구가 저랑 관계를 맺는걸 싫어해요 최고관리자 09.25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