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어떻게 시계 팔라고" 스위스 '발칵'…"한국처럼 투자 못해?" 그럼 "관세 폭탄 39%"

유머/이슈

(트럼프) "어떻게 시계 팔라고" 스위스 '발칵'…"한국처럼 투자 못해?" 그럼 "…

최고관리자 0 159 08.03 02:04

"어떻게 시계 팔라고" 스위스 '발칵'…"한국처럼 투자 못해?" 그럼 "관세 폭탄 39%" / SBS / 자막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스위스산 수입품에 대해 39%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하면서, 스위스 정부는 충격에 빠졌습니다.

이는 지난 4월 트럼프가 스위스에 예고했던 31%보다도 높은 수치이며, 브라질, 시리아, 라오스 뒤를 잇는 세계 최고 수준의 관세율로 분류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무역 적자를 스위스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주요 이유로 지목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스위스의 문제는 우리가 스위스와 400억 달러의 적자를 보고 있다는 것입니다. 어제 스위스와 이야기를 나눴지만, 미국이 스위스와는 400억 달러의 적자를 보고 있습니다. 그건 큰 적자입니다.]

뉴욕타임스는 2024년 기준 스위스의 대미 무역 흑자 중 3분의 2가 금괴 수출이지만, 미국의 필요에 따라 금은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했다고 전했습니다.

스위스를 대표하는 고급 시계와 정밀 기계, 초콜릿 등은 모두 관세 폭탄을 피하지 못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스위스가 미국과의 협상에서 한국, 일본, 유럽연합처럼 대규모 투자 약속을 하지 않았기 때문일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 신문은 "스위스가 미국에 한국이나 일본처럼 수천억 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을 제시했는지조차 불분명하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눈에 띄는 양보 없이 협상을 타결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원하는 건 가시적인 거래와 정치적 메시지였다고 덧붙였습니다.

스위스는 기존에 미국에 대한 다년간의 투자 실적만을 강조했을 뿐, 트럼프 행정부가 요구하는 '즉각적이고 정치적으로 효과적인 양보'는 제시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스위스 정부는 여전히 협상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는 입장인 가운데, 켈러-주터 대통령은 언론 인터뷰에서 "스위스는 강대국이 아니다. 경제력은 있지만 정치력은 없다"고 말했습니다.

스위스 기계 산업 단체들은 39% 관세를 감당할 수 없다고 밝혔고, 대형 시계 유통사인 '와치스 오브 스위스'는 주가가 7% 이상 급락했습니다.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838 전세사기 피해자 748명↑…누적 3만 2천여 명 최고관리자 08.03 168
9837 개수작 부리는 여친 최고관리자 08.03 205
9836 집사와 오토바이 타다가 사고난 고양이 최고관리자 08.03 189
9835 손세정제 용도외 사용금지 최고관리자 08.03 156
9834 유럽에 있다는 맥주 대포 최고관리자 08.03 137
9833 레깅스 입을 때 조심해야 하는 점 (웃긴영상) 최고관리자 08.03 170
9832 오늘까지만 가능한 입플 6+15사이트 오늘까지만가능한 08.03 160
9831 (2025 상반기결산) KPOP 아이돌그룹 순위 TOP40 - "국내 유튜브검색량 기준" 최고관리자 08.03 149
9830 정상인이 없다 최고관리자 08.03 139
9829 우리 회사 에어컨 비 N빵함 최고관리자 08.03 164
9828 손 잡을래? 최고관리자 08.03 168
9827 역대 최고의 여름 시즌송 '해변으로 가요'가 표절이라고? 최고관리자 08.03 154
9826 여자친구가 보낸 문자인가? 최고관리자 08.03 162
9825 흑돼지 고기의 문제점. 최고관리자 08.03 179
9824 8월에 보는 가을 단풍. 최고관리자 08.03 163
Category
반응형 구글광고 등
State
  • 현재 접속자 87 명
  • 오늘 방문자 798 명
  • 어제 방문자 1,138 명
  • 최대 방문자 2,535 명
  • 전체 방문자 203,134 명
  • 전체 게시물 50,369 개
  • 전체 댓글수 0 개
  • 전체 회원수 69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