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 지르고 기물 파손하고" '라이브 성지'된 부천역 상황

유머/이슈

"소리 지르고 기물 파손하고" '라이브 성지'된 부천역 상황

최고관리자 0 19 09.10 06:07

다양한 상권이 밀집한 부천역 거리.
상권 중심에 위치한 광장 입구부터 인터넷 생방송을 하는 사람들로 북적입니다.
광장을 오가는 사람들이 가장 많은 오후, 한 남성이 갑자기 웃옷을 훌렁 벗어 버립니다.
자세히 보니 라이브 방송을 켜놓고 격투기 연습을 합니다.
한쪽에서는 지나가는 여성을 가리키며 큰소리로 외모 평가를 하고,
[키 따지면 안돼, 빨리 빨리 가란 말이야.]
카메라를 들고 다가서자 놀란 여성들은 발걸음을 재촉합니다.
관심을 끌기 위한 돌발 행동으로 인해 인근 상인들도 불편을 호소합니다.
[부천역 식당 상인 : 한 1년 넘었을 걸요? 갑자기 작년부터 많아지기 시작했는데 계속 많아졌어요. 그 사람들 있으면 손님들도 안 들어와요. 시끄러워서 옆에서 밥을 못 먹겠다고.]
여럿이 몰려 다니다 종종 싸움까지 벌이기도 합니다.
[부천역 주변 부동산 : 저번에는 현수막 저 앞에서 싸워서 피 다 묻히고 다 파손하고 도망가고 남자애들이 덩치가 저만한데 가발 쓰고 다니고 (손님들이) 무서워서 다시 가요.]
편의점 안에 들어와 일부러 소동을 피우고, 그 모습을 콘텐츠로 만들기도 합니다.
[술 먹방 모드 변신!]
[손님 나가세요 안 팔아요, 나가세요.]
[왜요? 저 웃통 안 벗었고요. 몸에 옷 걸치고 있으면 과다 노출 아니고요]
유명 인터넷 방송인들이 부천역에 자리를 잡기 시작하자, 군소 채널 운영자들도 따라서 이곳으로 나온 겁니다.
[유튜브 개인방송 운영자 : 부천에서 해야지 이게 활성화가 돼요. 방송 자체가. 유튜브 특성상 여러 명이 있을 때 또 잘 돼요. 후원이 잘 터진다고 하죠.]
하지만 거리 방송에서 후원을 받으려고 자극적인 기행을 이어가고 그 과정에서 주변 사람들을 신경 쓰지 않고 피해를 끼치는 게 문제입니다.
[부천역 일반 보행자 : 막 춤추고, 보기에 조금 민망한 그런 것들도 많이 하고, 광견병 걸린 개처럼 사람을 물듯이 하면서 아주 위협적으로 했었던 적이 있어요.]
하지만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인터넷 방송인의 출입을 제한하는 매장도 생겨났습니다.
[이영진/인터넷 방송인 : 일단 (서로 방송에) 얼굴 비추면서 이렇게 계속 홍보하고 서로 상부상조했으면 좋겠다는 그런 느낌에서 시작한 거거든요. 일반인들한테 피해를 주는 건 절대 아니었어요 저희는.]
주변이 어두워진 시간에 이들의 방송 활동은 더 활발해집니다.
[앉아 봐 앉아서 5분만 있다가 가.]
[뭐야 이 XX야.]
소음으로 인한 민원은 거의 매일 들어오고 경찰이 출동하는 일도 다반사입니다.
[시민 : 시끄러워요. 저기 두 분이요 빨간 옷 입은 분 시비 걸고 다녀서요.]
[경찰관 : 알겠습니다, 네.]
[인터넷 방송인 : 끼어들어요, 저 남자가. 야 그렇게 끼어들지마.]
[경찰관 : 선생님 목소리 낮추세요. 조용히 해주세요.]
[인터넷 방송인 : 예, 사일런트 사일런트.]
경찰들이 곳곳을 다니며 하나하나 주의를 줘야 하는 상황입니다.
[경찰관 : 실례 좀 할게요. 저희가 인근에 소음 관련 신고가 들어오고 또 여기 사시는 분들이.]
[인터넷 방송인 : 죄송합니다. 죄송합니다.]
[경찰관 : 여기가 오피스텔이 있어가지고.]
[인터넷 방송인 : XXX들 많죠 그런 X들 사람 취급하지 말고 사장님, 아니 선생님들 다 딱지 끊어버리세요. 현행범 체포해주세요. 제발 그런 X들 예 여기 부천 좀 깨끗하게 만들어 주세요.]
심지어 경찰들과 대치 상황까지 방송 소재로 이용합니다.
[경찰이면 갑질 해도 돼? 야 경찰이면 갑질해도 돼?]
[여기 주차장이잖아요. 얼마면 돼요!]
[이영진/인터넷 방송인 : 어그로라고 해요. 그거를. 경찰분들이랑 막 싸워서, 막 욕하고 막 이런 분들이 있으면, 솔직히 시청자가 50명, 100명까지 늘어나기는 해요.]
재미를 주고 얻는 권리는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을 때 가능한 것. 사회 질서를 위협하고 도를 넘는 방송을 멈추게 하는 실질적인 방법을 강구해야 할 때입니다.
[유진희 교수/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 오락적인 콘텐츠조차도 우리는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능력은 필요해요. 이게 재미있으니까 그냥 보면 안 되는 거죠. 시청자들이 먼저 자율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를 굉장히 강화해야 될 필요가 있어요. 지금의 이 자율 규제를 강화하되, 그 콘텐츠를 심의하는 심의 기구들과 플랫폼이 연합할 필요도 있다고 봐요.]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6445 도암댐 물 안 받겠다던 강릉시 근황.jpg 최고관리자 09.10 16
26444 4000년의 역사가 축적된 방명록 최고관리자 09.10 13
26443 회식 메뉴 정하는 신박한 방법 최고관리자 09.10 14
26442 릴스 따라하기 쉽지 않음 최고관리자 09.10 13
26441 인도네시아 홍수 (9/10) 최고관리자 09.10 14
26440 돈 없는데 비행기 타고 싶을때 최고관리자 09.10 14
26439 4000년의 역사가 축적된 방명록 최고관리자 09.10 13
26438 장인어른을 속이는 사위 최고관리자 09.10 16
26437 5번 돌려보고 이해한 영상 최고관리자 09.10 13
26436 와이프의 와인드업(어디서 본 건 있는듯) 최고관리자 09.10 13
26435 '찾아가는 왕진버스'‥"효자가 따로 없네" 최고관리자 09.10 15
26434 2026학년도 대학 수시모집 시작‥ '전략적 선택이 중요' 최고관리자 09.10 15
26433 한국 운동부 학생들 공부 시키고 싶으면.jpg 최고관리자 09.10 14
26432 만족 결과에 따른 대접 최고관리자 09.10 15
26431 성범죄자 알리미 일러스트 근황.jpg 최고관리자 09.10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