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반달가슴곰 방사' 21년, 83% 야생…"서식지 확대해야"

유머/이슈

(지리산) '반달가슴곰 방사' 21년, 83% 야생…"서식지 확대해야"

최고관리자 0 22 08.17 22:10

'반달가슴곰 방사' 21년, 83% 야생…"서식지 확대해야" / SBS 8뉴스


〈앵커〉

올봄 지리산에서 멸종위기종 1급인 반달가슴곰 새끼 2마리가 태어났습니다. 반달가슴곰을 처음 지리산에 풀어놓은 지 20년이 지난 지금 야생 반달곰 수는 전체의 80%를 넘어섰는데요. 서식지를 더 늘려야 한다는 이야기도 나옵니다.

이용식 기자가 지리산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기자〉

반달가슴곰이 숲길을 어슬렁거리며 지나갑니다.

드럼통으로 만든 포획틀 위에 올라가 놀기도 하고, 통 안에 머리를 넣었다 빼며 포획을 회피할 만큼 영리한 행동도 합니다.

반달곰 추적 관리를 위한 무인카메라에 찍힌 건데, 지난 5월엔 새 생명의 모습도 포착됐습니다.

동면 굴에서 새끼 반달곰 2마리가 어미와 함께 얼굴을 내밀었습니다.

환경부가 반달곰 복원을 위해 지난 2004년 처음 방사한 뒤 5년이 지나면서 해마다 새끼 곰이 태어나 현재 지리산에 서식하는 곰 95마리 중 83%인 79마리가 야생에서 태어난 곰입니다.

방사한 곰 51마리를 훌쩍 뛰어넘었습니다.

[정우진/국립공원공단 남부보전센터장 : 안정적으로 개체군이 증가한 상태고, 유전자 기술을 활용해서 반달가슴곰 가계도도 구축해 놓은 상태입니다.]

국립공원공단은 포획틀 200여 개를 설치해 출생 개체 확인과 위치 추적용 발신기 부착을 하고 있습니다.

포획틀 안에는 반달곰을 유인하기 위해 꿀과 참외 같은 먹이를 넣어두게 되는데 반달곰이 통 안으로 들어오게 되면 이 철문이 자동으로 닫혀 포획 가능하게 됩니다.

지난해에도 22마리를 포획해 풀어줬는데, 출생이 처음 확인된 곰은 5마리였습니다.

반달곰은 지리산을 벗어나 덕유산에도 3마리가 살고 있습니다.

지리산 권역 복원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된 만큼, 전문가들은 설악산 쪽에도 반달곰을 방사해 백두대간 전체로 서식지를 넓혀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6145 81,000개 사진을 이어붙인 달 사진 최고관리자 08.18 16
16144 늑대한테 여우짓 하는 여우 최고관리자 08.18 20
16143 배민 광고 레전드 최고관리자 08.18 11
16142 성시경이 표정 관리 안되던 순간 최고관리자 08.18 17
16141 양아치 붕어빵 최고관리자 08.18 11
16140 열무김치로 끓인 김치찌개 후기 최고관리자 08.18 14
16139 지상파 탄 잠지덜덜이 최고관리자 08.18 17
16138 주인아....이거 님이 봐도 무리아냥? 최고관리자 08.18 14
16137 상어는 귀여워! 최고관리자 08.18 16
16136 자동차 사기 전에 알아 둬야 할 사실 최고관리자 08.18 5
16135 의외로 무한리필집 사장님들이 생각 못하는 것 최고관리자 08.18 14
16134 계단을 내려가는 뚱냥이의 흔한 스킬 최고관리자 08.18 10
16133 다양한 이동방법3.mp4 최고관리자 08.18 17
16132 물 위로 못 올라오게 하는 냥아치 최고관리자 08.18 9
16131 왠 사발이 여기 있냥? 최고관리자 08.18 20
Category
반응형 구글광고 등
State
  • 현재 접속자 115 명
  • 오늘 방문자 1,491 명
  • 어제 방문자 1,039 명
  • 최대 방문자 2,535 명
  • 전체 방문자 196,603 명
  • 전체 게시물 45,727 개
  • 전체 댓글수 0 개
  • 전체 회원수 66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