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0㎞ 밀입국 아무도 몰랐다"...제주 해상경계 '구멍'?

유머/이슈

"460㎞ 밀입국 아무도 몰랐다"...제주 해상경계 '구멍'?

최고관리자 0 21 09.14 06:23

[앵커]
460㎞ 떨어진 중국에서 제주까지 밀입국선이 들어온 사건과 관련해 해상 경계에 구멍이 뚫렸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목격자가 신고하기 전까지 밀입국과 관련해 군경 모두 사건을 인지하지 못했습니다.
KCTV 제주방송 김용원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2023년 보령으로 밀입국을 시도했던 선박이 적발됐습니다.
열상 감시장비에 선체 등이 감지되면서 초동 조치가 가능했고 해경은 당시 중국인 22명 전원을 검거했습니다.
제주 해안 250㎞ 사면에 열상 감시장비 40여 대가 24시간 가동 중입니다.
제주 해안 약 20㎞까지 식별이 가능합니다.
군이 관리하는 다른 지역과 달리 제주는 제주경찰청 해안경비단이 열상 감시장비를 운용 중이며 250억 원 규모의 경계시스템이 구축됐습니다.
지난 8일 새벽 제주로 온 밀입국 고무보트를 처음 발견한 건 산책을 나온 마을 주민이었습니다.
고무보트가 제주에 도착한 이후 2시간 지나 목격자가 신고하기까지 군경은 관련 사실을 아무도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중국에서 제주까지 460㎞를 항해하는 동안 밀입국 보트는 한중 잠정 조치 수역부터 우리 측 관할 해역을 모두 통과했습니다.
보트는 위치발신장치가 없었고 야간에도 라이트를 껐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무엇보다 보트가 금속 자재가 아니었기 때문에 레이더 감시망에도 잡히지 않았을 것으로 보입니다.
실시간 위성 촬영이 가능하지만, 현재는 불법 조업 단속 등을 위해 제한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해군은 이번 사건과 관련해 레이더 관련 탐지 여부나 관할 해역 여부 등에 대해 기록 열람을 이유로 구체적인 답변을 하지 않았습니다.
먼바다에서부터 제주 앞바다까지 수백 킬로미터를 보트가 이동하는 동안 첨단장비는 무용지물이었고, 사실상 어선 또는 목격자 신고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번 밀입국 시도가 처음이 아닐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커지는 이유입니다.
해상 경계 시스템이나 작전 과정에 문제가 없는지 철저한 조사가 필요해 보입니다.
한편 지난 2020년 태안에선 밀입국 사건 관련 부실한 대응이 드러나면서 관련 기관장이 경질됐습니다.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8013 한국에선 연봉 6000, 미국에선 연봉 최소 4억인 직업.jpg 최고관리자 09.14 20
28012 원숭이를 속이는 법 최고관리자 09.14 22
28011 잠 좀 자자~ 증말 최고관리자 09.14 20
28010 미국에서 난리난 폭스채널 뉴스쇼 진행자 발언 ㄷㄷ.jpg 최고관리자 09.14 20
28009 라이온킹 최고관리자 09.14 20
28008 아빠 직업이 부끄러운 학생 최고관리자 09.14 20
28007 손상된 DNA 복구과정 최고관리자 09.14 23
28006 4천년 전 수메르인들이 남긴 기록 최고관리자 09.14 21
28005 생각보다 날먹이라는 한국 자격증ㅋㅋㅋ 최고관리자 09.14 21
28004 넥슨에게 시위하는 페미 최고관리자 09.14 20
28003 프랑스 경제가 박살난 게 복지때문이 아닌 이유 최고관리자 09.14 21
28002 추석명절 호불호 음식 두가지.jpg 최고관리자 09.14 22
28001 '에일리♥최시훈' 결혼 5개월 만에 파국 최고관리자 09.14 21
28000 뭐하는 곳인지 궁금한곳 최고관리자 09.14 20
27999 아프리카에서....... 최고관리자 09.14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