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롯데카드와 KT에 대한 해킹은 개인정보가 가장 집중적으로 모여있는 금융과 통신망이 뚫렸다는 점에서 충격적입니다.
또 누구나 이용하는 서비스에서 즉시 직접적인 피해를 볼 수 있는 만큼 국민들의 불안도 커질 수밖에 없는데요.
점점 고도화되고 있는 해킹수법에 대응하기 위해선 보안에 대한 기업들의 투자와 함께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도 필요하단 지적이 나옵니다.
송재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4월, SK텔레콤에서 해킹 공격으로 인한 대규모 고객 정보 유출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전체 이용자 2천3백만 명의 휴대전화 번호와 가입자 식별 번호 등이 유출됐습니다.
유심칩 교체를 위해 고객들은 새벽부터 대리점 앞에서 줄을 서야 했고, 연휴를 앞둔 공항에서도 사상 초유의 '유심 대란'이 벌어졌습니다.
[이종환/SK텔레콤 이용자(4월 28일)]
"화가 나죠. 이게(개인정보) 이렇게 빠져나갈까 이런 불안감 때문에‥"
대규모 해킹 사고는 이후에도 한 달에 한번 꼴로 이어졌습니다.
국내 최대 인터넷 서점 '예스 24'는 지난 6월 랜섬웨어 공격에 5일 동안 시스템이 마비됐습니다.
7월엔 SGI 서울보증보험이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전세대출과 주택담보대출 등 업무에 차질을 빚기도 했습니다.
올해 상반기 랜섬웨어 공격 등 침해 사고 신고 건수는 작년보다 15% 증가한 1,034건.
문제는 국가 핵심망인 통신망과 금융망이 모두 뚫렸다는 점입니다.
해킹도 단순한 개인정보 유출을 넘어 소액 결제 등 직접 돈을 빼가는 금융 범죄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가 기간망 보안에 구멍이 뚫렸다는 지적이 나오자 정부도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기업이 침해 사실을 고의로 늦게 신고하거나 미신고할 경우 과태료 처분을 강화하고, 정부가 해킹 정황을 확보하면 기업 신고 여부와 관계없이 조사에 착수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겠다는 겁니다.
전문가들은 과징금이나 재발 방지 대책 등 사후적인 방안 보다 사고 예방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합니다.
[황석진/동국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정부에서는 어떤 사고 발생 이후에 규제에만 의존하지 말고 그 기업의 사전 보안 투자와 더 책임 있는 경영을 좀 유도하는 정책을‥"
고도화된 해킹 기법에 대응할 수 있도록 방어 기술에 대한 예산 투자나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MBC뉴스 송재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