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독사 위험군’ 전국 17만 명 첫 확인…“체계적 관리 시급”

유머/이슈

‘고독사 위험군’ 전국 17만 명 첫 확인…“체계적 관리 시급”

최고관리자 0 22 09.16 07:35

[앵커]
고령층 1인가구가 급증하면서 고독사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올랐습니다.
정부 조사에서 전국 17만 명 이상이 고독사 위험군인 것으로 처음 확인됐습니다.
이번 조사에선 실제 고독사한 사례가 제외된 걸로 드러나 체계적인 관리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성수 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

[리포트]
제대로 풀지 않은 이삿짐이 집안 구석구석 어지럽게 널려 있습니다.
사업 실패 후 가족과 단절됐던 60대 남성이 지난해 이 오피스텔에서 혼자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이런 비극을 막기 위해 보건복지부가 지자체와 함께 고독사 위험군을 처음 조사했습니다.
소득이 있는지, 타인과 소통을 얼마나 하는지, 그리고 공과금 체납 여부 등 10가지를 물었습니다.
그 결과 전국에서 17만 명이 위험군으로 나타났습니다.
위험군으로 분류되면 지자체에서 주기적으로 안부를 확인하고 생활개선 지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지난 3월 서울 강남구 빌라에서 고독사한 50대 남성은 위험군에서 빠져 있었습니다.
직업도 없는데다 3~4개월치 공과금이 밀려 있었지만, 도움의 손길이 미치지 못했습니다.
[인근 주민/음성변조 : "지나가다 보면 그냥 못 본 척 지나가고 해서, 인사하거나 그러진 않거든요."]
고독사 위험군 조사가 기초생활수급자만을 대상으로 이뤄졌기 때문입니다.
지자체별 통계도 들쭉날쭉합니다.
인구가 대략 140만 명인 광주광역시는 위험군이 3만여 명이지만, 인구가 약 10배 많은 경기도는 만여 명에 불과했습니다.
여기에 성별, 연령별 분류도 안 돼 고독사 위험군에 대한 맞춤형 대책도 마련할 수 없습니다.
[서미화/국회 보건복지위원/더불어민주당 : "적극 행정을 통한 위험군 발굴을 해야 하고 복지부는 시스템 전산화로 대상자에 대한 개인별 맞춤형 지원을 해야 합니다."]
최근 5년 동안 연평균 5.6%씩 늘어 1년에 3천여 명이 고독사한 걸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9038 90년대에 부모님들이 게임 비싸다고 안 사준 이유 최고관리자 09.16 14
29037 요즘 지피티 드립수준 최고관리자 09.16 15
29036 짱구 뒷모습.jpg 최고관리자 09.16 18
29035 현재 난리났다는 조지아 비자사건 근황 최고관리자 09.16 16
29034 수능 4일의 기적 가능한가요? 최고관리자 09.16 13
29033 41살 한국남자와 결혼한 20살 베트남녀 최고관리자 09.16 17
29032 지구 온라인 근황 ㅋㅋㅋㅋㅋ 최고관리자 09.16 16
29031 펨코 맞춤 쳇 GPT의 개그 최고관리자 09.16 21
29030 Linkin Park가 샘플링 한 방법 (feat. Faint) 최고관리자 09.16 17
29029 현재 일본 J리그에서 핫한 비매너 논란.mp4 최고관리자 09.16 16
29028 후방) 윤공주 실시간 최고관리자 09.16 19
29027 코어 근육이 엄청난 헬스녀 최고관리자 09.16 18
29026 K장녀의 위엄 최고관리자 09.16 21
29025 물 그리고 방주교회 최고관리자 09.16 13
29024 MBC, 오요안나 1주기에 ‘기상캐스터 폐지’…유족 반발 최고관리자 09.16 20
Category
반응형 구글광고 등
State
  • 현재 접속자 237 명
  • 오늘 방문자 1,402 명
  • 어제 방문자 3,090 명
  • 최대 방문자 3,146 명
  • 전체 방문자 251,360 명
  • 전체 게시물 0 개
  • 전체 댓글수 0 개
  • 전체 회원수 74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