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고수온에 갈치 어획량 '반토막'...급변하는 '어장 지도'

유머/이슈

(제주) 고수온에 갈치 어획량 '반토막'...급변하는 '어장 지도'

최고관리자 0 36 08.24 01:01

[자막뉴스] 고수온에 갈치 어획량 '반토막'...급변하는 '어장 지도' / YTN


여름철 제주 바다에서 주로 잡히는 갈치 어획량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습니다.

지난해 연안복합어선 갈치 어획량은 약 4천 톤으로 지난 2006년에 비해 절반 이상 급감했습니다.

어획량 감소가 수온 상승과 관련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갈치가 주로 잡히는 수심 20미터 바다 수온 변화에 따른 갈치 어장 분포 현황을 조사했더니,

수온이 21도 내외로 유지되던 2017년, 제주 연안에 갈치 어장이 뚜렷하게 형성됐습니다.

반면, 30도에 육박하는 고수온이 유입된 지난해에는 갈치가 북동쪽으로 이동하면서 어장이 분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조업 철인 8월 수온이 27도 이상을 기록한 2016년과 2023년에도 비슷한 현상이 관측됐습니다.

수온 같은 환경 요인이 제주 주요 어종의 어획량과 어장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한 건 정부 조사에서 이번이 처음입니다.

[유준택 / 국립수산과학원 해양수산연구관 : 최근 10년간 갈치가 주로 잡히는 8월, 그리고 주로 어획되는 바다 층에서 수온과의 관계를 비교했고, 그 결과 제주 남동쪽에서 27도 이상의 따뜻한 물 덩어리가 들어올수록 어장이 분산되면서 어획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바다 고수온 현상으로 제주 토종 소라의 서식지가 경북 울진 해상까지 확장하고 제주에 남은 소라의 면역력이 크게 떨어졌다는 연구 결과도 있었습니다.

해양수산부는 내년부터 제주 연안 60㎞ 이내 해양 생물과 수심별 수온 염분 등에 대한 정밀 조사를 진행해 어장 변화 추세를 분석할 예정입니다.

김용원입니다.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0526 케데헌에 트롯을?? 최고관리자 08.28 12
20525 조니 소말리 재판 근황.jpg 최고관리자 08.28 9
20524 박봉이어도 공무원 하는 이유 최고관리자 08.28 14
20523 상당산성 파 봤더니‥ 쓰레기 7톤 '우르르' 최고관리자 08.28 15
20522 GPT-5 Thinking 의학자문 덕분에 여친 살렸다는 디씨인 최고관리자 08.28 19
20521 생일 12시 딱 되자마자 기부한 연예인 .jpg 최고관리자 08.28 18
20520 최근 배우 고소영 모습들 최고관리자 08.28 10
20519 친구가 몇년전에 아이패드 펜슬을 잃어버렸다고 했다 최고관리자 08.28 10
20518 약에 대한 추억 최고관리자 08.28 16
20517 하자보수기술자 "이거다!!" 최고관리자 08.28 14
20516 생각 수준이 낮은 사람들의 특징 최고관리자 08.28 8
20515 귀찮게 한다냥 최고관리자 08.28 13
20514 술이 위험한 이유.jpg 최고관리자 08.28 8
20513 파리올림픽 양궁 대표팀 감독, 숨진 채 발견…"병사 추정" 최고관리자 08.28 16
20512 이거 이름 뭔지 아시는지 최고관리자 08.28 16
Category
반응형 구글광고 등
State
  • 현재 접속자 77 명
  • 오늘 방문자 749 명
  • 어제 방문자 1,632 명
  • 최대 방문자 2,535 명
  • 전체 방문자 210,434 명
  • 전체 게시물 54,724 개
  • 전체 댓글수 0 개
  • 전체 회원수 69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