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피해 예상"...제주도에 정착한 '외래 해충' 확산 위기

유머/이슈

"큰 피해 예상"...제주도에 정착한 '외래 해충' 확산 위기

최고관리자 0 17 09.07 01:05

[자막뉴스] "큰 피해 예상"...제주도에 정착한 '외래 해충' 확산 위기 / YTN


수많은 식물이 살아가는 제주 곶자왈.

이곳에 아열대 식물 '빌레나무'가 자라고 있습니다.

지난 2003년 처음 발견된 뒤 20년 넘게 제주에 터를 잡았습니다.

추위에 약한 '빌레나무'가 이처럼 제주에서 살아갈 수 있는 이유는 기후 변화에 따른 기온 상승으로 생육 조건이 갖춰졌기 때문입니다.

제주에서는 지난 2011년 이후 10여 종의 신종과 60여 종의 미기록 식물이 확인됐습니다.

그중에는 자원화가 가능한 종도 있지만, 토종 식물에 위해가 되는 종들도 있습니다.

[임은영 / 산림청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박사 : (제주는) 기후 변화를 가장 극심하게 겪을 수 있는 곳임과 동시에 열대·아열대 지역에서 유입될 수 있는 식물들이 내륙으로 가는 길목에 있으면서 그러한 식물들이 정착할 수 있는 지역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아열대성 곤충 발견도 매년 늘고 있습니다.

지난해 한반도 남부에서 발견된 미기록종 후보 38종 중 21종이 제주에서 처음 확인됐습니다.

'노랑알락하늘소'의 경우 지난 2019년 제주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완전히 정착했는데 팽나무에 피해를 주고 있습니다.

남해안도 서식에 적합한 곳으로 꼽혀 확산하면 큰 피해가 예상됩니다.

[이선근 / 산림청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박사 : 남부 지역에 충분히 정착할 수 있다는 그런 연구 결과를 도출했고요. 위험성 평가에서 노랑 알락하늘소는 굉장히 위험성이 높은 걸로 나왔기 때문에 많은 피해를 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기후 변화로 인한 아열대 생물 유입은 앞으로도 이어질 전망입니다.

전문가들은 외래 생물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은 물론 아열대 현지에서 병해충 생태를 연구해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YTN 고재형입니다.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5116 실제 북한의 뗏목노동자 식사시간 최고관리자 09.07 14
25115 뽕탄소년단, "추성훈 형님 일본가서 유튜브나 찍으세요" ㅇㅈㄹ 최고관리자 09.07 12
25114 에르메스 군고구마 최고관리자 09.07 12
25113 202년 일어난 중국의 걸그룹 처벌 사유. 최고관리자 09.07 10
25112 국밥집 할머니 이야기 최고관리자 09.07 12
25111 시골 콘크리트 길 갈 때 조심해야하는 이유. 최고관리자 09.07 11
25110 정말 열심히 사는 중국인 커플 최고관리자 09.07 11
25109 화장실 따라오는 냥이한테 목걸이 만들어줌 최고관리자 09.07 10
25108 이제는 무서워지는 케이팝 인기 근황 ㅋㅋ 최고관리자 09.07 10
25107 극소수의 컴터 게이머만이 아는 음악. 최고관리자 09.07 12
25106 16호 태풍 발생 최고관리자 09.07 11
25105 새우에게 구강청소 맡기기 최고관리자 09.07 11
25104 약혐) 의외로 뺨맞는 행위 최고관리자 09.07 12
25103 ㅇ..여...여보!! 최고관리자 09.07 14
25102 대나무자리 손쉽게 세척하는 방법.jpg 최고관리자 09.07 10
Category
반응형 구글광고 등
State
  • 현재 접속자 200 명
  • 오늘 방문자 1,074 명
  • 어제 방문자 1,764 명
  • 최대 방문자 2,871 명
  • 전체 방문자 230,727 명
  • 전체 게시물 64,943 개
  • 전체 댓글수 1 개
  • 전체 회원수 74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