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산불 잊고 '푸릇' 스스로 회복…환경단체 "인공 조림 멈춰야"

유머/이슈

(경북) 산불 잊고 '푸릇' 스스로 회복…환경단체 "인공 조림 멈춰야"

최고관리자 0 21 09.12 07:25


산불 잊고 '푸릇' 스스로 회복…환경단체 "인공 조림 멈춰야" / SBS / #D리포트



지난 3월 초대형 산불로 9만여ha가 잿더미로 변한 경북 지역입니다.

6개월이 지난 지금 푸릇푸릇한 어린나무들이 자라나고 있습니다.

대부분이 상수리와 신갈나무 등 활엽수로, 1m가 넘게 자란 나무도 있습니다.

흙 속에 묻혀 있던 활엽수 씨앗들이 산불 이후 싹을 틔워 올라온 겁니다.

경북 의성의 또 다른 산불 피해 지역입니다.

산불로 모두 불에 타 전소됐던 곳이지만 지금은 이렇게 새로 올라온 어린나무들로 뒤덮여 있습니다.

녹색연합은 경북 5개 시군의 산불 피해지를 지켜본 결과 80%가 넘는 지역에서 숲이 자연적으로 회복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산불 피해 지역에서 관행적으로 해오던 인공 조림을 멈춰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지난 2021년 안동 산불 이후 인공 조림 지역에서 나무가 잘 자라지 않고 조림을 위해 산에 길을 내면서 되레 산림을 훼손했다는 겁니다.

[서재철/녹색연합 전문위원 : 식생이 이렇게 회복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제대로 모니터링을 안 하기 때문에 관습과 관행에 따른 인공 조림을 계속 시행하고….]

산림청은 국내 산불 피해지 가운데 30%가량만 벌채한 뒤 나무를 새로 심는 인공 조림으로 산림을 복원하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무차별적으로 베어내는 게 아니라 도로나 민가가 가까워 산사태 위험이 있거나 자연적 회복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할 때 인공으로 조림한다는 겁니다.

[산림청 관계자 : 천편일률적으로 저희가 다 개입해서 벨 수도 없고 그거에 예산을 다 지원한다고 그러면 정말 천문학적인 돈이
들어갈 거거든요.]

자연 회복이 가능한 지역에선 인공 조림을 하면 안 된다는 환경단체의 목소리가 커지는 만큼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해 조림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정규원/산림기술사 (농학박사) : (산림청이) 정상적으로 계획하고 작업도를 낸다든지 하면 당연히 그건 안전하다고 볼 수 있는데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반대론자들이 많아지는 거거든요.]

산림청은 산지 소유자를 비롯해 이해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한 뒤 올해까지 경북 산불 피해 지역에 대한 산림 복구 기본 계획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7123 TEDDY BEAR 녀 최고관리자 09.12 18
27122 태국 전통 마사지 최고관리자 09.12 18
27121 모니터암인데 최고관리자 09.12 19
27120 남자들은 못하는 자세.gif 최고관리자 09.12 20
27119 성난 시위대를 피해 탈출하는 네팔 정치인들 최고관리자 09.12 17
27118 한 장 500원 부침개.jpg 최고관리자 09.12 18
27117 10년 전 1억은 현재 얼마? 최고관리자 09.12 15
27116 흑인 여성이 말하는 디즈니의 교묘한 함정 최고관리자 09.12 19
27115 학벌이 쓸모없다. 시대가 완전히 바뀌었다. 최고관리자 09.12 19
27114 미군이 받은 위문편지 최고관리자 09.12 18
27113 초등학생과 대화하는 법.jpg 최고관리자 09.12 16
27112 부산 엘리베이터 사고 최고관리자 09.12 17
27111 일본인이 보는 '하나' 최고관리자 09.12 16
27110 C2JOY 최고관리자 09.12 19
27109 치킨 시켰는데 초등학생이 배달 옴 최고관리자 09.1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