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인공지능 산업 발전으로 인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고, 이 과정에서 재생에너지를 확대하기 위해선, 무엇보다 안정적인 전력망 확보가 중요합니다.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로 불리는 차세대 전력망 구축이 추진되고 있는데, 풀어야 할 과제가 만만치 않습니다.
먼저 김관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은색 금속 프레임의 전력 장치가 촘촘하게 연결돼 있습니다.
초고압 직류송전, HVDC 시스템의 핵심 설비입니다.
HVDC는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대규모 전력을 수백 킬로미터 이상 안정적으로 보낼 수 있는 차세대 송전 기술입니다.
특히, 전력 생산지가 도시나 산업단지 같은 수요지와 멀리 떨어져 있는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전력의 장거리 전송에 필수적입니다.
[박진태/한국전력 경기북부 변전운영부장 : (HVDC는) 전력 조류를 저희 마음대로 조정을 할 수 있습니다. 특정 선로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낮출 수도 있고….]
재생에너지 확대와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2030년대 완공을 목표로 정부가 추진 중인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에도 HVDC가 적용됩니다.
지난해 200MW 전압형 HVDC 기술 국산화에 성공해 기술 자립의 토대는 마련됐습니다.
[권기량/효성중공업 PM : 핵심 기술인 변환 설비, 컨버터 설비를 개발하였고 그와 함께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기술까지 개발하였습니다.]
하지만 넘어야 할 산도 적지 않습니다.
초고압 송전선로가 통과하는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최대 난관입니다.
[김봉오/서안성 송전선로 반대대책위원장 : 이미 우리 (안성) 시는 400개 이상의 송전탑이 세워져 있는데, 인접 시군은 우리 시의 어떤 피해를 디딤돌로 해 가지고 발전하고, 우리 시민들은 더 이상의 철탑은 절대 세울 수 없다….]
오는 2038년까지 전력망 확대를 위해 72조 8천억 원을 투입한다는 게 정부의 계획인데, 한국전력의 투자 여력이 부족하다는 점도 고민거리입니다.
올 상반기 기준 총부채가 206조 원에 달할 정도로 재무구조가 악화한 상황에서, 송전망 투자에 필요한 막대한 재원 확보도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