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번 방중에서 김정은 위원장은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함께 시진핑 주석의 양옆에 자리할 예정입니다.
북한과 중국, 러시아가 냉전 시대 3각 연대의 재현을 모색하려는 의도로 해석되는데요.
이에 대해 국정원은 김 위원장에게 북중 관계를 복원하고 미국의 태도 변화를 유인하려는 의도가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신재웅 기자입니다.
리포트
중국의 전승절 80주년 기념행사는 내일 오전,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서 열립니다.
전 세계에 생중계되는 열병식엔 극초음속 미사일 등 중국의 최신 무기들이 총동원될 예정인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중심으로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톈안먼 망루 양옆에 설 예정입니다.
세 사람이 한자리에 모이는 건 이번이 처음으로, 북한과 중국·러시아가 냉전 시대 반서방 '3각 연대'를 재현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홍 민/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김정은을 2순으로 밀리지 않게 옆에 배치했다는 얘기에요. 그니까 그만큼 이 3자 구도가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거에 대해서 더 이상 두려워하거나 회피하진 않겠다, 중요하다‥"
국가정보원은 중국이 김 위원장에게 푸틴 대통령과 동등한 의전과 경호를 제공해 각별히 예우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국정원은 김 위원장이 이번 방중으로 북·중 관계를 복원해 운신의 폭을 넓히고, 러시아 편중 외교를 넘어 중국으로부터의 경제적 지원을 모색하려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시진핑 주석은 물론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도 잇따라 정상회담을 할 것으로 보이는데, 다만 국제사회의 부정적인 반응을 감안해 북·중·러 3자 정상회담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내다봤습니다.
집권 후 첫 다자외교 무대인 만큼 김 위원장이 리셉션 등 각종 행사에서 여러 정상들을 만나는 모습도 공개될 것으로 보입니다.
국정원은 북한이 아직은 미국과의 대화에 선뜻 나서지 않을 걸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중국에 밀착하는 건 미국의 태도 변화를 유인하려는 목적도 있는 만큼, 향후 미국을 주시하며 접촉 기회를 모색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MBC뉴스 신재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