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온갖 부정적인 전망과 비교가 이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오늘 정부가 미국과 관세협상을 타결했습니다.
미국이 공언한 25%의 관세를 15%로 낮췄고, 자동차 품목관세도 최악의 경우를 피한 가운데, 반도체와 의약품의 상황도 나아졌는데요.
대신 우리나라는 미국에 투자할 3천5백억 달러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고, 미국산 에너지를 대량 구매하기로 했습니다.
구체적인 내용을 하나하나 전해드리기에 앞서, 협상의 큰 틀부터, 송재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SNS를 통해 "한국과 무역협정을 체결한다"고 알리자, 이재명 대통령도 역시 SNS를 통해 "큰 고비를 하나 넘었다" 소회를 밝혔습니다.
8월 1일로 예고된 관세부과를 이틀 앞두고, 한미 관세 협상이 타결됐습니다.
미국은 당초 25%로 예고한 상호관세를 15%로, 역시 25%를 부과했던 자동차 품목관세도 똑같이 15%로 낮추기로 했습니다.
반도체와 의약품에 앞으로 품목관세를 매겨도 우리를 다른 나라보다 불리하지 않게 대하는 '최혜국 대우'도 약속했습니다.
[김용범/대통령실 정책실장]
"협상과정에서 우리 정부는 국익을 최우선으로 감내할 수 있는 수준 내에서 상호호혜적 결과를 도출한다는 원칙 하에‥"
우리는 그 대가로 대규모 투자펀드 조성과, 미국산 에너지 구매를 약속했습니다.
미국에 대한 펀드 투자는 총 3천5백억 달러.
우리 돈 487조 원 규모입니다.
이 중 1천5백억 달러는 조선업 협력 이른바 '마스가 프로젝트'에, 나머지 2천억 달러는 반도체와 배터리, 바이오 등 다른 산업 분야에 투자합니다.
또, 앞으로 4년간 1천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에너지를 구매하기로 했습니다.
원래 구매가 예정됐던 물량에다 중동에서 수입하던 걸 일부 대체하는 것이어서 큰 부담은 아니라는 게 정부 설명입니다.
미국은 소고기와 쌀 추가 개방을 강하게 요구했지만, 우리 정부는 식량 안보와 농업의 민감성을 강조하며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철강과 알루미늄에 부과된 50% 추가관세는 미국 측의 강한 반대로 그대로 높은 관세가 부과되게 됐습니다.
MBC뉴스 송재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