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유전, 윤석열) 총선 참패 직후 띄운 '대왕고래'‥15개월만 실패 (2025.09.21/뉴스데스크/MBC)

유머/이슈

(동해 유전, 윤석열) 총선 참패 직후 띄운 '대왕고래'‥15개월만 실패 (2025.09.21/뉴스데스크/MBC)

최고관리자 0 0 09.21 20:39

총선 참패 직후 띄운 '대왕고래'‥15개월만 실패 (2025.09.21/뉴스데스크/MBC)


앵커

지난해 여당이었던 국민의힘이 총선에 참패한 뒤 윤 전 대통령은 갑자기 대왕고래 프로젝트를 발표하며 막대한 양의 석유와 가스가 매장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하지만 이미 세계적인 개발업체가 사업성이 없다며 철수했고, 분석을 맡은 회사는 사실상 1인기업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큰 논란이 일었는데요.

발표부터 실패까지 의혹과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지난 1년 3개월을 이지수 기자가 돌아봤습니다.

리포트

여당이었던 국민의힘이 총선에서 참패한 지 두 달 만인 지난해 6월.

당시 윤석열 대통령은 예고도 없이 취임 후 첫 국정브리핑을 열었습니다.

[윤석열 당시 대통령(지난해 6월)]
"막대한 양의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물리 탐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윤 전 대통령은 포항 영일만 일대에 우리나라 전체가 최대 29년간 쓸만한 가스와 4년간 쓸 수 있는 석유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발표했습니다.

시추 성공 가능성이 20%에 달한다는 미국 기업 액트지오의 분석 결과를 근거로 들었습니다.

[비토르 아브레우/액트지오 대표(지난해 6월)]
"(성공률) 20%는 미개척 분지에서 매우 훌륭한 수치입니다."

하지만 앞서 1년 전 약 15년간 이 지역을 탐사했던 세계적인 개발업체 우드사이드가 유망성이 없다며 철수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일었습니다.

게다가 윤 대통령이 세계 최고 전문기업이라고 소개했던 액트지오는 주소지가 대표의 자택인 사실상 1인 회사이고, 세금 체납 기록까지 있어 분석 결과를 신뢰할 수 있느냐는 비판이 이어졌습니다.

한국에서 기자 회견까지 열었던 아브레우 대표는 의혹이 가라앉지 않자 아예 언론과의 접촉을 끊었습니다.

[액트지오 주소지 임차인(지난해 6월, 미국 휴스턴)]
"(아브레우 대표) 그분은 브라질로 갔어요. <브라질이요?> 네. 그는 회사 일로 4년 동안 브라질로 가야 해서 집을 세놨어요."

논란에도 불구하고 12.3 비상계임 직후인 지난해 12월 중순 시추가 시작됐고, 약 한 달 보름만인 지난 2월 정부는 "가스 징후가 있었지만 경제성을 확보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는 잠정 결과를 내놨습니다.

그리고 윤 대통령 발표 1년 3개월 만인 오늘, 정부는 대왕고래 프로젝트 실패를 시인했습니다.

[이헌석/에너지정의행동 정책위원]
"당시 굉장히 (대통령) 지지율이 낮은 상태였고, 대왕고래 프로젝트라는 큰 프로젝트가 성공한다는 걸 중심으로 해서 일종의 지지율 상승을 꾀했던 게 아닌가."

석유공사가 추가 탐사를 계획하는 가운데 향후 개발 사업에 대해선 추가 검증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MBC뉴스 이지수입니다.




Comments

Category
반응형 구글광고 등
State
  • 현재 접속자 205 명
  • 오늘 방문자 1,196 명
  • 어제 방문자 2,351 명
  • 최대 방문자 3,146 명
  • 전체 방문자 260,499 명
  • 전체 게시물 0 개
  • 전체 댓글수 0 개
  • 전체 회원수 75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