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리 아래 외딴 곳에 위치하고 있는 건물, 사람들 사이에서는 '유령 빌라'로 불리지만 이곳에는 유령과 거리가 먼 사람들이 분명히 살고 있습니다.
[선생님 지금 여기서 거주하고 계세요?]
['유령 빌라' 거주자 : 아 여기 산 지 오래됐죠 벌써… 여기 사람들 많이 살아요 또 세입자들도 사는 사람들도 한 두세대가 더 있고.]
영종대교 건설이 한창이던 1999년.
이곳은 갯벌 매립지 인근의 텅 빈 땅이었습니다.
언제 빌라가 지어졌나 항공 사진을 통해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보니, 2010년쯤으로 확인됐습니다.
현재 이 빌라에 사는 가구수는 약 10세대.
빌라 곳곳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은 사연도 제각각입니다.
[빌라주민 A씨 : 지금 9년째 살고 있어요 싼 값에 나와 있었다고 해서 내가 경매를 받아서 한 8천만 원 돈에.]
[빌라주민 B씨 : (미수) 대금으로 공사 대금으로 해서 이 집을 받았죠 그 당시에 분양을 3억씩에 했었어요.]
기반 시설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분양을 받은 빌라 주민들은 당시 우물을 연결해 물을 쓰고 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사용해왔던 겁니다.
[진장익/중앙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교수 : 이렇게 허허벌판 갯벌에 빌라촌을 짓는 사례는 굉장히 드뭅니다 아마 흔한 일은 아니고요 완전히 기반시설이 정확하게 갖춰지지 않아도 법적으로는 아마 문제가 없었을 거예요 그 당시에는 다른 계획들이 다 무산되고 지금 빌라만 남아 있는 이런 상태가 된 것 같습니다.]
오가기도 불편하고 편의 시설도 없어 '유령 빌라'로 불려왔지만 주민들은 대대적인 주변 개발보다 조금이라도 더 안전한 환경이 갖춰지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뭐 유령빌라다 사람이 살 곳이 못 된다 이런 말씀들 하시는데 유령빌라가 아니고 사람이 사는 곳이기 때문에 오해 안 하시고 잘 봐주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