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범죄조직서 극적 생환한 한국여성

유머/이슈

캄보디아 범죄조직서 극적 생환한 한국여성

최고관리자 0 0 09.16 18:37

https://www.news1.kr/society/incident-accident/5914283



"나를 찾아줘"…캄보디아 범죄조직서 극적 생환한 한국여성


54acd092a0a5b19ef2e941b4f96be3f0_1758015438_6386.png





(서울=뉴스1) 박동해 기자 =  "어떻게든 나를 찾아줘."

"나 이거 목숨 걸고 보내는 거야 살아서 보자."

지난달 6일 A씨의 휴대폰으로 다급한 텔레그램 메시지가 날아왔다. 발신자는 캄보디아로 일을 하러 갔던 여자친구 이민정 씨(가명·여)였다. 구조 문자를 보낸 민정 씨는 '답장을 하면 안 된다'며 메시지를 곧바로 지웠다. A 씨는 얼른 화면을 캡처해 메시지를 저장했다.

민정 씨는 지난 7월 24일 고액 아르바이트라는 말에 속아 캄보디아로 향했다. 민정 씨는 뉴스1에 "디자인 일을 구하고 있었는데 간판이나 포스터, 명함 디자인을 단기로 하고 350만~400만 원을 준다는 고액 알바 공고를 보고 연락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공항에 도착하자마자 기다리고 있던 것은 일자리가 아닌 칼자루였다. 그를 차에 태운 현지 범죄조직 조직원들은 곧장 칼을 들이밀었다 민정 씨의 목을 졸라 기절시켰다.

눈을 뜬 곳은 현지 범죄조직이 운영하는 건물이었다. 식사조차 제대로 나오지 않고 숙소는 폐허 같았다. 범행을 거절하면 물고문이 이어졌고, 쇠파이프와 전기 고문 기구도 일상처럼 등장했다. 민정 씨는 마약 운반에서 시작해 보이스피싱 조직에 넘겨져 강제로 전화를 걸어야 했다. 고문 중에 "살려 달라"고 말하면 더 심한 폭력이 돌아왔다.

그러던 중 민정 씨에게 기회가 찾아왔다. 범죄조직이 쓰던 텔레그램을 잠시 쓸 수 있게 된 순간이었다. 그는 재빨리 한국의 남자친구 A 씨에게 메시지를 보냈다. 곧바로 흔적을 지우며 '답을 하지 말라'는 당부까지 남겼다. 이제는 기적을 기다리는 수밖에 없었다.

한국에서 메시지를 받은 A 씨는 곧장 민정 씨의 아버지에게 알렸다. 민정 씨의 아버지는 경찰과 외교부에 문을 두드렸지만 "정확한 위치를 알아야 한다", "본인이 직접 신고해야 한다"는 답만 돌아왔다.


4d1996a35ef78e0bdccf0f63ee0f15f0_1758015438_8841.jpg



막막한 순간, 아버지는 평소 명함을 받아두었던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떠올렸다.  전화를 걸어 사정을 설명했고, 곧바로 의원실이 움직였다. 의원실 김우성 비서관이 외교부와 국정원에 상황을 긴급히 알렸고, 민정 씨가 보내온 문자들은 곧 관계 기관 전체로 공유됐다.

전화가 걸려온 지 사흘 뒤, 캄보디아 캄폿주 보코산. 현지 경찰이 한 건물을 급습했다. 문을 열자 안에 갇혀 있던 민정 씨와 함께 한국인 13명이 더 발견됐다. 모두 범죄조직에 납치돼 감금돼 있던 사람들이었다.

현지 경찰서에 옮겨진 민정 씨에게 한국인 영사가 다가와 "민정 씨가 신고를 해줘서 오게 됐습니다"라고 말했다. 민정 씨는 그제서야 안도의 눈물이 났다고 했다.

극적으로 살아 돌아온 민정 씨는 자신과 같은 사례가 재발되지 않길 바라는 마음으로 뉴스1의 서면 취재에 응했다. 그는 자신을 단순한 '피해자'가 아닌 '살아남은 증인'이라고 부르며 "제2, 제3의 피해자가 나오지 않도록 제 사례가 경각심을 주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그는 여전히 몸은 아프고 마음은 무너져 있지만 "다시 한국 땅을 밟을 수 있었다는 사실이 큰 위안"이라며 "제 생명을 지켜주신 그 은혜는 평생 잊지 못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구조 작업에서는 박찬대 의원실의 역할이 컸다. 의원실은 민정 씨가 보내오는 문자들을 관련 기관들에 공유하고 해결을 독려하면서 구조 작전의 허브 역할을 했다.

감금돼 있던 국민들을 구조하는 작업을 이끌어낸 박찬대 의원실의 김우성 비서관은 "현장에서 직접 구출을 하거나 뛰어난 업무 조력을 한 것은 아니다"라며 "각 부처를 이어주는 역할을 통해 원활하게 구조 작업이 이뤄질 수 있도록 작은 역할을 한 것"이라고 자신의 공을 낮춰서 말했다.

박찬대 의원은 "이재명 대통령께서 국민 안전을 최우선의 가치로 두고 있는 만큼, 정부가 국민 안전을 지키는 컨트롤타워로서 확실히 기능할 수 있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최근 2022년 1건에 불과했던 캄보디아 취업 사기·감금 피해 신고 건수는 2023년 17건, 2024년 220건으로 급증했다. 올해 7월까지만 해도 252건의 관련 신고가 접수됐다. 이에 정부는 사건 대응을 위해 캄보디아 영사 인력을 기존 1명에서 3명으로 늘리기로 했다.


캄보디아 여행금지국가로 해야하는거 아닌가...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