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가 알고 지내던 친구 중에 모 대학교 사회복지학과에서 전념으로 연구와 교육을 위해 애쓴 이익섭교수가 있었다. 이미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겠지만 이교수는 시각장애인이었다. 유학 시절에 처음 만났는데 이 친구는 사회복지학을 전공하고 필자는 심리학을 전공했기 때문에 강의실에서 자주 만나면서 친분을 쌓게 되었다.
우리나라에는 시각장애인이 공부할 수 있는 교육시설이 고등학교까지밖에 없어서 아주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대부분의 시각장애인이 대학 공부하기가 어렵운 형편이다. 이 친구가 교수 생활을 하기 전에 잠깐 장애인 복지에 관련된 기관에서 일을 했는데, 이 점을 무척 안타까워했다. 그러던 중 ‘독학사자격증’ 제도가 생기자 이 친구가 시각장애인들에게 학사학위를 딸 수 있는 길을 열어주려고 교육을 시작했다. 유학 시절에 같이 공부했던 친한 교수들에게 독학사 자격증 관련 과목을 하나씩 맡겼기 때문에 필자도 기꺼이 ‘심리학 개론’ 강의를 하게 되었다.
학기가 거의 끝나갈 어느 날 이 친구가 저녁을 한 번 사겠다고 해서 함께 음식점에 갔다. 이 친구가 가끔 가는 횟집에서 먹고 마시면서 이런저런 이야기 나누던 중 이 친구가 최근에 보건복지부 장관하고 같이 청와대 들어가서 대통령과 대화를 나눴던 일을 이야기했다. 그러면서 장관은 대통령 앞이라 아무 말 못하는데 자기는 할 말 다 하고 왔다고 뿌듯해했다.
그래서 “어떻게 그럴 수 있었느냐?”고 물었더니 이 친구가 천연덕스럽게 “내가 눈에 뵈는 게 있냐?” 고 대답했다. 이 대답을 듣자마자 긴장이 탁 풀리면서 나도 모르게 음식점이 떠나갈 듯이 웃었다. 이 친구는 진짜 보이는 것이 없지 않은가? “난 지금 눈에 뵈는 게 없어.” 사실 이런 표현은 대개 눈이 보이는 사람이 하는 것이다. 그런데 진짜로 보이지 않는 사람이 그런 이야기를 하니까 우스워져서 크게 웃었다. 지금까지는 아무리 친구라도 제가 혹시라도 이야기하다 잘못해서 시각장애인인 이 친구의 마음을 아프게 하지 않을까 조심한 면이 없지 않아 있었는데, 오히려 이 친구가 그렇게 말하니까 그런 마음이 없어지고 아무 말이나 편하게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렇게 편하게 웃고 이야기를 하다 보니 접시에 남은 마지막 회 한 점을 이 친구가 집어먹었다. 그래서 “마지막 남을 걸 왜 네가 먹냐?” 그랬더니 이 친구가 “내가 눈치가 있냐?” 고 대답을 해서 또다시 박장대소(拍掌大笑)를 했다. “그래, 너 눈치 없어서 좋겠다.” 둘이서 낄낄거리며 한참 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