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소금빵 하나에 990원, 정말 가능한 가격일까요?
한 유명 유튜버가 요즘 빵값이 너무 비싸다면서 오늘 초저가 빵집 문을 열었습니다.
가게 앞에는 긴 줄이 늘어서며 소비자들은 반겼지만, 빵을 굽는 자영업자들은 불편해 했습니다.
비싼 빵값에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는 건데요.
이재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줄이 옆 건물까지 길게 늘어섰습니다.
빵 가게 문을 열기로 한 오전 11시에 맞춰 먼저 와서 기다리는 겁니다.
"엄청 저렴하네."
손님을 끌어모은 비결은 단연 가격입니다.
소금빵과 플레인 베이글, 바게트가 990원, 1천원도 안됩니다.
시중 빵집에 비해 가격이 절반도 안되는 겁니다.
[김정진]
"일단은 이 동네에서 말이 안 되는 가격 같고요. 앞으로 빵 가격이 이렇게 유지만 되면 언제든지 사 먹을 의향이 있을 정도죠."
잘 팔리다보니 구매 개수도 제한됐습니다.
이렇게 보시면 매장 앞에 인당 3개까지만 구매가 가능하다는 안내문이 붙어 있습니다.
이 빵집은 단기간만 운영하는 기획성 가게입니다.
구독자 360만명을 보유한 한 유명 유튜버가 요즘 빵값이 너무 비싸다면서 한 기획사와 손잡고 문을 연 겁니다.
원재료를 직거래해 비용을 줄이고, 싸게 많이 파는 전략이라는 설명입니다.
[슈카]
"맛있고 싼 빵. 유통과정을 줄이든 마진을 줄이든 아니면 박리다매를 하건. 이게 불가능하냐. 그래서 직접 해봤습니다."
하지만 동네 빵집은 이런 초저가 판매 시도가 불편합니다.
자영업자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소금빵 원가가 1천원인데, 990원에는 절대 못 판다", "새벽 4시반부터 일어나 일하는데 허무하다"는 글이 올라왔습니다.
기획성 팝업 가게니까 가능한 거지, 인건비에 상가 임대료까지 감안하면 도저히 불가능한 가격이라는 겁니다.
[빵집 사장]
"부수적인 이런 게 많이 붙어요. 유통도 그렇고 임대료도 그렇고 인건비도 모든 게 다 플러스 되니까‥"
게다가 복잡한 원재료 유통구조 등 구조적 문제도 많은데, 애꿎은 자영업자들이 폭리를 취하는 것처럼 비쳐질까봐도 걱정입니다.
[빵집 사장]
"어쩔 수 없이 저희는 그 유통업자가 껴 있는 상태에서 이걸 하다 보니까 그래서 그 가격 차이가 좀 많이 나지 않나 싶습니다."
이번 논란의 근본적인 배경에는 이른바 빵플레이션, 비싼 빵값이 있는 건 사실입니다.
통계청 자료를 보면 지난 7월 기준 빵소비자물가지수는 138.55로 5년 새 38.5% 상승했습니다.
소금빵 990원, 지속가능한 가격일지, 아니면 단발성 실험으로 끝날지 관심이 쏠립니다.
MBC뉴스 이재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