ㄷㄷㄷㄷㄷ
2025년 6월, 나리타·하네다뿐 아니라 오키나와현 공항 에서도 한국인 다수가 일본 입국 전 장시간 억류 조사 를 받음.
억류된 이들은 일본 출입국 당국으로부터 독도·한일관계 시위 참여 여부 , 미군기지 관련 활동 등 정치·사상 관련 질문을 받음.
일부는 허위 답변 시 입국 불허 가능성 경고를 받음.
50대 남성, 회사원 겸 평화활동가.
6월, 7명 일행 중 4명이 비행기에서 내려 별도 조사실로 이동 .
약 3시간 조사 : 방문 목적·일정·숙소 등 캐물음.
"독도 관련 시위 참여 여부", "한일 관계 관련 모임 참여 여부" 질문.
지문 날인, 여권 복사 후 입국 허용.
과거 평화·반전 연대활동 경력, 본인 정보가 일본 측에 블랙리스트 형태로 관리 되는 듯한 의심.
국내 시민단체 소속.
입국 심사 대기 중, 일본 당국자가 B씨 사진을 들고 찾아와 조사실로 이동.
강화된 세관 심사 : 속옷 포함 소지품 검사.
"미군기지 관련 시위나 운동 참여 여부", "일본 경찰 조사 전력" 질문.
약 2시간 조사 후 입국 허용.
과거 오키나와 지역 시민단체와 연대활동 경험 있음.
일본 당국이 불편한 목소리를 내는 한국인 명단 을 관리하고 있을 가능성 제기.
오키나와타임즈(7월 2일자) :
5~6월 사이 한국인 10명 장시간 심문 .
일부는 사상·신념 확인 질문 받음.
최장 5시간 심문 후 입국 거부 사례 존재.
질문 내용에 ‘독도’, ‘야스쿠니’ 등 정치·역사 민감 사안 포함.
변호사: "사상·신념은 입국 거부 사유가 될 수 없다"며 ‘후미에’(종교 박해 시 신앙 확인 절차)에 비유.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이국언 이사장: 8월 7일 나리타 공항서 2시간 억류 조사.
민족문제연구소 김영환 실장 & 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 이희자 공동대표: 8월 9일 하네다 공항서 2시간 억류 조사.
모두 강제동원 문제 사죄·배상 요구 활동 을 해온 인물들.
김 실장은 올해만 4차례, 이 이사장은 3차례 반복 경험.
"다른 탑승객은 바로 입국하는데, 우리만 매번 1.5~2시간 억류. 블랙리스트 없이는 불가능" 주장.
일본이 정치·역사 문제에 비판적인 한국인 활동가를 선별적으로 검문·억류 하는 정황.
블랙리스트 형태의 인적 정보 관리 가능성.
일본 사회 우경화와 함께 사상·신념 검증 이 입국 절차에 반영되는 우려.
한국 정부 차원의 외교적 대응 필요성 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