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3구서 '전략적 자퇴' 증가..."수능만 잘 보면 돼"

유머/이슈

강남 3구서 '전략적 자퇴' 증가..."수능만 잘 보면 돼"

최고관리자 0 0 16:51


연합뉴

연합뉴
높은 교육열로 이름 높은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에서 오히려 학업을 중단하는 일반고 학생들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열한 내신 경쟁 대신 오히려 자퇴 후 '수능 올인' 전략을 선택하는 학생들이 늘어나서다.

10일 한국교육개발원의 학업중단율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서 일반고 자퇴율이 가장 높은 3곳은 강남구와 서초구, 송파구로 나타났다.

강남 8학군인 강남구와 서초구가 2.7%로 가장 높고 송파구가 2.1%로 뒤를 이었다.

강남3구 일반고 학생의 학업중단율은 최근 몇 년 동안 지속해서 높아졌다. 

강남구의 학업중단율은 2021년 1.4%에서 2022년 1.9%, 2023년 2.2%, 지난해엔 2.7%로 치솟았다.

서초구와 송파구도 2021년 1%대에서 지난해 2%대로 높아졌다.

2021년 강남구의 학업중단율은 1.4%에 불과했으나 2022년 1.9%, 2023년 2.2%로 증가세를 보이더니 지난해엔 2.7%로 치솟았다. 

서초구 역시 2021년 1.3%에서 이듬해 2.4%로 뛰었다. 

2023년에는 1.8%로 떨어졌지만, 지난해 2.7%로 다시 급증했다. 

송파구는 2021년(1.0%)과 2022년(1.6%) 모두 1%대로 집계됐으나 2023년과 지난해 각각 2.1%를 기록하며 2%대에 진입했다.

강남 3구 일반고 재학생들이 학교를 그만두는 주된 이유로는 내신 성적 부담이 꼽힌다. 

내신 경쟁이 치열해 중간·기말고사 등에서 한 번이라도 실수가 나올 경우 경쟁에서 뒤쳐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 때 남은 내신 관리에 시간을 뺐기기 보다 검정고시를 보고 수능 비중을 높이는게 유리하다는 판단이다.

실제로 올해 서울대·고려대·연세대( SKY ) 신입생 가운데 검정고시 출신은 전년 대비 37.0%(70명) 증가한 259명으로 최근 8년 사이 가장 많았다.

올해부터는 고1부터 '내신 5등급제' 시행으로 학업을 중단하는 학생이 더 많아질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5등급제에서는 상위 10% 안에 들지 못하면 곧바로 11∼34% 구간인 2등급으로 떨어진다"며 "지난 1학기 때 1등급을 받지 못한 학생들은 자퇴 여부를 두고 고민이 상당히 깊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389417



에휴 ,, 안타깝네요



Comments

Category
반응형 구글광고 등
State
  • 현재 접속자 87 명
  • 오늘 방문자 824 명
  • 어제 방문자 846 명
  • 최대 방문자 2,535 명
  • 전체 방문자 187,502 명
  • 전체 게시물 37,391 개
  • 전체 댓글수 0 개
  • 전체 회원수 58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