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때 우리나라 전역에서 볼 수 있었지만 이젠 멸종위기종이 된 붉은 여우를 자연으로 돌려보내기 위한 작업이 10년 넘게 이어지고 있는데요.
올해 새끼 여우 30마리가 새 보금자리를 찾아 떠난다고 합니다.
류현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소백산 자락에 있는 야생생물 중부보전센터
여우 한 마리가 조심스럽게 출입문에 앞발을 올립니다.
붉은 털에 쫑긋한 귀가 특징인 멸종위기종 1급, 붉은 여우입니다.
잠시 주변을 살피던 이 여우는 밖으로 나섭니다.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문을 열어놓고 스스로 밖으로 나가도록 유도하는 '적응방사' 방식입니다.
국립공원공단은 2012년부터 소백산에서 붉은 여우 복원사업을 진행 중인데 올해는 새끼 여우 30마리가 방사됩니다.
한 때 연평균 2.5마리에 그쳤던 새끼 여우 출생 수는 지금은 연간 서른세 마리로 크게 늘었습니다.
여우가 스트레스를 덜 받도록 독립 공간을 마련하고 서로 친한 암수를 골라 자연교미를 유도한 결과입니다.
야생 붉은 여우는 최대 9년까지 살 수 있지만 차에 치이거나 덫에 걸려 폐사하는 경우가 많아 실제로는 6년 이상 생존하는 사례가 드뭅니다.
그동안 방사한 여우의 28퍼센트는 이런 이유로 폐사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배성근/국립공원야생생물보전원 중부보전센터장]
"여우는 우리 생태계에서 중요한 중간 포식자로 고라니, 멧돼지 등의 개체 수 조절에 기여하고 사람에게는 해를 끼치지 않는 유익한 동물입니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2027년까지 소백산 일대 여우를 100마리로 늘리는 등 복원작업을 계속 이어갈 방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