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한국에 필요한 건…"돌봄의 가치 존중해야"

유머/이슈

지금 한국에 필요한 건…"돌봄의 가치 존중해야"

최고관리자 0 2 05:46

[앵커]
우리 사회에서 돌봄 문제는, 사회 구성원 전체가 함께 책임져야 할 문제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아이를 키우고 노인을 돌보는 일을 중요시하고, 또 지원하는 문화가 아직도 부족한 게 현실인데요.
어떤 변화가 필요한지 이혜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16년 차 직장인 손서연 씨는 직장 내 돌봄 제도를 두루 활용하며 일과 가정의 균형을 맞추고 있습니다.
서연 씨 회사는 지난해 가족친화 우수기업 표창을 받았습니다.
[손서연/가족친화 우수기업 근무 : 남자 직원들도 육아휴직을 잘 쓰는 편이고, 여자 직원 같은 경우에는 거의 100% 육아휴직을 다 쓸 정도로 (제도가 잘 돼 있어요.)]
임신 기간 외에도 가족 돌봄을 위한 시차출퇴근을 허용하고, 예비 초등학생 자녀를 둔 직원에겐 육아휴직 외 별도의 자녀 입학 돌봄 휴직 기간을 줍니다.
가족돌봄 휴직, 휴가에 더해 임종기 가족을 돌보는 가족간병 휴가도 마련돼 있습니다.
[손서연/가족친화 우수기업 근무 : 임종기가 다가왔을 때 가족들이 같이 시간을 보내고 싶다고 해서 휴가를 쓰는 것들을 봤고요.]
국내 가족친화인증 기업은 2008년 14곳에서 지난해 6천500곳으로 늘었습니다.
부득이 자녀를 데리고 출근했을 때 사용 가능한 사내 가족사무실 운영, 육아지원금과 육아도우미 지원 같은 돌봄 존중 문화가 눈에 띄는 기업들입니다.
[박재협/가족친화 우수기업 근무 : (육아휴직) 첫 달에 (회사가) 급여를 살짝 보전해 줘요. (나중에) 아이를 키울 때 그런 부분이 도움이 되겠다 (생각이 들었어요.)]
돌봄 노동의 존엄과 생산적 기여를 인정하는 움직임은 세계적인 추세입니다.
한국에서 처음 열린 APEC 여성경제회의에서도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돌봄의 강화가 중점적으로 논의됐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매일 164억 시간이 무급 돌봄 노동에 할애되고 있습니다.
비용으로 환산하면 연간 11조 달러, 1경 5천조가 넘습니다.
[발레리 프레이/OECD 선임경제학자 : 정책적으로 돌봄 노동이 마땅히 받아야 할 가치를 인정받는 급여 체계를 수립해야 합니다.]
여성에게 치우친 불균형한 돌봄 구조를 해체하고, AI와 같은 신기술을 활용해 '돌봄 경제'로 나아가려는 노력도 필요합니다.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4477 “해방된 조국 땅에 묻어달라”…120년 만의 귀향 최고관리자 07:49 1
14476 헬스장에서 극혐하는 사람들 최고관리자 07:46 1
14475 한 손으로 안타 친 선수 최고관리자 07:44 1
14474 소개팅남과 카톡중 여자의급발진 최고관리자 07:36 1
14473 여자교도소 독방이랑 온수가능해? 최고관리자 07:36 1
14472 친구한테 돈을 빌렸는데요 최고관리자 07:35 1
14471 간호학과 여대생의 대장내시경후기 최고관리자 07:35 1
14470 찬반논란이있는 직장인행동 최고관리자 07:35 1
14469 요즘 이해하기 어려운 초딩들 최고관리자 07:28 1
14468 천둥치면 동물들 반응 최고관리자 07:27 1
14467 낱말카드에서 엄마를 찾은 아이 최고관리자 07:25 1
14466 세쌍둥이 일상 최고관리자 07:24 1
14465 엄마 대신 화이팅 하는 딸 최고관리자 07:24 1
14464 지피티(GPT) 한테 내 사진 보고 만화 캐릭처럼 그리랬는데.jpg 최고관리자 07:22 1
14463 굴착기로 땅 파다가 발견한 큰 뱀.gif 최고관리자 07:21 0
Category
반응형 구글광고 등
State
  • 현재 접속자 67 명
  • 오늘 방문자 692 명
  • 어제 방문자 917 명
  • 최대 방문자 2,535 명
  • 전체 방문자 190,917 명
  • 전체 게시물 40,683 개
  • 전체 댓글수 0 개
  • 전체 회원수 65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